대구 통합공항 어디로 가나…군위·의성·영천 3파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대구 공군기지(K-2)와 대구공항이 옮겨갈 통합 후보지 선정 작업이 본격화됐다.

포스코엔지니어링, 24일 용역 착수
주민투표 등 거쳐 내년 최종 결정
태스크포스팀 발족 등 유치 활동
일부 지역에선 찬반 갈등 조짐 보여

30일 경북도에 따르면 국방부 군공항이전사업단은 지난 18일 포스코엔지니어링 컨소시엄과 ‘대구공항 예비이전후보지 조사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포스코엔지니어링 측은 24일 용역에 착수했다. 후보지 선정 작업이 시작된 것이다.

기사 이미지

국방부는 12월 16일까지 2개 이상의 예비 후보지가 정해지면 다시 군공항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열어 한 곳으로 압축한다. 이 과정에 관련 지방자치단체장이 참여한다. 단수 후보지가 도출되면 해당 지자체장은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를 거친다. 이전후보지는 내년 상반기에 최종 결정된다.

이런 가운데 공항 유치를 희망하는 경북지역 일부 시·군은 벌써 주민 반발에 부닥치거나 공항 이전의 득실을 분석하고 있다. 대구시는 새 공항이 자동차로 30분 이내인 지역을 선호한다.

이 같은 조건과 유치 희망에 따라 현재 경북 군위군과 의성군·영천시 등이 후보지로 떠오르고 있다. 군위군은 김영만 군수가 경북지역 23개 시·군 중 가장 먼저 공항 유치 희망 의사를 밝혔다. 대통령이 통합이전을 발표한 다음날 유치 태스크포스(TF)팀을 발족했을 정도다. 소보면 등 후보지 3곳도 내부적으로 정했다.

장정석 군위군 기획감사실장은 “통합 공항이라도 유치해야 할 만큼 지역 사정이 어렵다”며 “군위는 대구에서 40㎞, 30분 이내 거리인 데다 경북의 중심으로 입지가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강조한다. 포항·경주도 40분이면 닿을 수 있고 장래 항공 수요를 감안한 울산도 1시간 권역이란 설명이다. 군위군은 이후 반대에 부닥쳤다. 소보면 주민들이 유치반대추진위원회를 결성한 것이다. 김 군수는 반대 여론이 좀체 수그러들지 않자 유치 활동을 공식 중단했다. 지난 26일엔 공항과 관련해 화합을 호소하는 서한문을 군민들에게 보냈다.

이전 대상인 대구시 동구의 현 공항은 활주로 2개 등 공군기지와 국제공항을 포함해 6.71㎢ 규모. 국방부는 통합이전 공항을 현재보다 2.4배 확대한 15.3㎢(약 460만 평)로 계획하고 있다. 대구공항은 2040년 이용객을 343만으로 추정한다.

의성군은 군의회가 먼저 나섰다. 군의회는 군위군이 TF팀을 발족한 다음날 공항 의성 유치 결의문을 채택했다. 의성군은 군위와 공동유치를 희망한다. 이재한 의성군 미래전략단장은 “절차상 지자체가 유치할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으냐”며 “다만 기대감을 표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군위와 연계하는 것은 도청 이전의 교훈처럼 인근 시·군의 동반 발전을 염두에 뒀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영천시는 한 번도 공항 유치 의사를 밝히지 않았지만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다. 대구와 포항·경주 등 주민의 이용 편의성 때문이다. 하지만 영천 민심은 반대에 가깝다. 민·관 단체 대표들은 지난달 공항 이전 관련 간담회를 연 뒤 다수가 전투기 소음피해 등을 우려했다. 소음은 특히 금호읍에 들어설 경마장에 큰 장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영천시는 일단 국방부 용역 발표를 지켜본 뒤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송의호 기자 yee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