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캡 우리말 순화어는 뽁뽁이…백패킹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방한 용품으로 사용되는 에어캡 (중앙포토)

에어캡의 순화어로 '뽁뽁이'가 선정됐다.

국립국어원(원장 민현식)이 에어캡의 다듬은 말로 '뽁뽁이'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에어캡은 완충 포장이나 단열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기포가 들어간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른다. 누르면 뽁뽁거리는 소리를 내기 때문에 뽁뽁이로 다듬었다고 국립국어원은 설명했다.

운전자가 차에 탄 채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방식 또는 그러한 판매 방식의 상점을 이르는 '드라이브스루(drive-through)'는 '승차 구매(점)'를 제안했다.

1박 이상의 야영 생활에 필요한 장비를 넣은 배낭을 짊어지고 산과 들을 마음 내키는대로 자유롭게 걸어다니는 여행인 '백패킹'은 배낭 도보 여행 또는 등짐 들살이로 갈음할 것을 제안했다.

오티피(O.T.P : One Time Password)는 무작위로 생성되는 난수(亂數)로 구성된 일회용 비밀번호 또는 그런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인증 방식을 카리킨다. 국립국어원은 일회용 비밀번호를 권했다.

차량 지붕의 일부가 아니라 전체를 강화유리 등으로 덮은 지붕창(선루프)을 이르는 파노라마 선루프
(panorama sunroof) 대신에는 전면 지붕창을 제안했다.

국립국어원은 지난달 1~12일 우리말 다듬기 홈페이지(malteo.korean.go.kr)를 통해 에어캡 등 외국어·외래어 5개를 대체할 우리말을 공모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