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 김포, 송도 … 교외 곳곳에 아울렛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도심에서 초대형 복합쇼핑몰간 각축전이 한창이라면 교외에선 프리미엄 아울렛 확장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교외의 아울렛 확장 경쟁은 도심에서 신규 출점이 막힌 백화점들이 주도하고 있다. 백화점업계는 백화점의 신규출점은 2012년 충북 청주에 문을 연 현대백화점 충청점을 마지막으로 꼽는다. 그 대신 백화점들은 시내서 차로 한 시간 안팎의 교외로 뛰쳐 나가 교외형 아울렛 확장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교외형 아울렛 경쟁은 7년 전 경기도 여주에 ‘신세계 첼시 프리미엄 아울렛’을 개장한 신세계백화점이 불을 지폈다. 이에 맞서 롯데는 지난해 말 경기도 이천에 영업면적만 잠실운동장 2개에 달하는 동양 최대 규모의 ‘이천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을 개장했다. 서울 근교서 벌이던 아울렛 경쟁은 최근엔 부산과 인천 등으로 확전됐다. 신세계는 지난해 부산 기장군에 영업면적 약 3만3000㎡의 아울렛을 열었고, 롯데는 똑같은 기장군에 7만9000m²규모의 아울렛을 연말에 준공한다. 현대백화점 역시 경기도 김포와 인천 송도 등에 내년 하반기에 교외형 아울렛을 개장한다.

 백화점들이 아울렛에 목을 메는 건 정체된 백화점과 달리 성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백화점의 매출 성장률은 2012년과 2013년 모두 4.9%였다. 대형마트 역시 2013년 1.4%, 2013년 2.7%에 그쳤다. 물가가 매출에 그대로 반영되는 유통업계의 특성상 소비자 물가 상승률(2012년 2.2%, 2013년 1.3%)을 감안하면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한 셈이다. 반면 교외형 아울렛은 2012년 41%, 지난해에는 30%나 매출이 늘었다.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유통업체뿐 아니라 모든 기업은 성장성이 좋은 업종을 쫓아 사업을 확장할 수 밖에 없다”며 “최근 유통업계가 교외형 아울렛에 사활을 거는 것도 매출이 느는 건 그쪽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교외형 아울렛의 급속한 성장은 경기부진이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한 푼이라도 더 싼 곳을 찾는 소비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또 주말 여가문화의 발달로 시내를 벗어나 쾌적한 환경에서 나들이를 겸한 쇼핑을 즐기는 쇼핑객 증가도 한 몫 했다. 이에따라 교외형 아울렛도 이같은 쇼핑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엔터테인먼트·문화·다양한 체험공간 비중을 늘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이 부산 기장군에 짓는 아울렛 근처에 아울렛뿐 아니라 골프장·호텔·테마파크·아쿠아리움 같은 시설을 설치하는 게 대표적이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