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시대…고정금리가 나을까, 변동금리가 나을까?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3년 전 분당신도시의 한 아파트를 사면서 은행에서 2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 연 4.8%로 받은 직장인 장모(49)씨. 그는 정부의 말을 믿고 고정금리를 받았는데 금리가 내리면서 갈아타기로 마음 먹었다.

대출 받은 지 3년이 지나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데다 추가 목돈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침 주택담보대출비율과 총부채상환비율이 완화됐다.

그런데 고민이 생겼다. 다시 고정금리로 할지, 변동금리로 해야 할지다. 김 씨는 “금리가 최저점이라면 오르는 일만 남았는데 변동금리로 갈아타도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최근 기준금리 인하와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면서 장씨처럼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를 통해 기존 대출의 금리를 낮추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8월 한 달에만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4조원으로 월평균 증가액의 3.5배나 급증했다.

대출 갈아타기 수요 급증

금융권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은행에 따라 2.9~3.4% 수준으로 내렸다”며 “제2 금융권 이용자들도 시중은행의 저금리 대출로 전환이 가능한 만큼 저금리 대출 상품과 비교해 갈아타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그런데 문제는 변동금리로 할지 고정금리로 할지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리가 계속 내려가고 있어 대다수의 사람들이 고정금리보다는 변동금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단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금리만 비교하면 변동금리가 고정보다 낮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금융당국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늘리려고 시중은행을 압박해 왔다. 우리나라 대출의 대부분은 주택 구입을 목적으로 한 담보대출이다.

그런데 2008년처럼 집 값이 하락하고 거래가 뜸해진 상태에서 금리가 오르면 고스란히 가계의 이자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수요자들의 고민도 여기에 있다. 금융당국이 2017년까지 고정금리 비중을 40%까지 높이라고 주문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대출기간과 상환방식에 따라 고정금리냐 변동금리냐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상환방식에 따른 선택 기준은 비교적 간결하다. 분할상환방식이 아닌 만기일시상환방식을 선택했다면 변동금리는 자칫 위험할 수 있다. 분할상환방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출잔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나중에 이자가 오르더라도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

변동금리가 무조건 유리하지 않아

하지만 일시상환방식이라면 향후 이자가 오르면 고스란히 가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3년 이상의 일시상환방식을 선택했다면 고정금리 대출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반대의 경우는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다.

그래도 선택이 어렵다면 혼합금리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혼합금리는 처음 3년이나 5년은 고정금리가 유지되다 이후 만기 때까지는 변동금리로 전환된다. 다만 고정금리 기간이 끝날 당시 금리 상황에 따라 이자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아니면 5년마다 금리가 바뀌는 준고정금리 대출도 눈여겨 볼 만하다. 준고정금리는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의 장점을 결합한 주택금융공사의 금리조정형 적격대출 상품이다. 지난 6월 말 출시한지 한 달 반 만에 1조4585억원(8월14일 기준) 팔려나갔다.

장점은 금리 변동의 위험성은 줄이면서도 금리는 고정금리 대출보다 저렴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준고정금리 역시 5년 뒤 금리 변동 가능성은 있다. 5년 뒤 시중금리가 올라 있다면 높은 수준의 고정금리를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신한PB 이남수 PB팀장은 “대출 금리가 연 3%대 중반에서 형성되고 있고 각종 우대금리 혜택을 더할 경우 3%대 초반까지도 떨어진다”며 “그러나 변동금리가 모두 유리한 건 아니므로 자신의 재무상황 등을 고려해 변동이나 고정, 혼합 등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