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문화재 생계비지원 현실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중요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인간문화재)들에 대한 정부의 생계보조서가 내년부터 1백%인상돼 월20만원씩 지급된다. 지난 총선기간 중 민정당 고위당직자의 「공약」에 따라 실현을 보게된 인간문화재 생계비지원의 현실화는 곧 정부와 민정당간의 당정협의를 거쳐 내년도 예산안 편성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 같은 인간문화재의 대우격상은 「아카데미」의 최고 영예를 자랑하는 학·예술원 회원들에게 현재 월2O만원씩 지급되는 수당과 같은 수준-. 한편 64년 경부당국의 발굴, 지정이 시작된 이래 무형문화재계의 최대「경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 같은 인간문화재 대우는 무형문화재기능보유자들에게 다시 한번 전통문화의 자랑스런 승계자라는 긍지를 심어주게 될 것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있다.
현재 지정돼있는 인간문화재는 모두 71종목에 1백70명-.
이밖에 5년 이상의 전수교육을 받고 지정을 기다리는 중요 무형문화재 기능전수자가 2백47명이고 전수교육중인자가 2백99명이다. 문공부는 올해 안으로 40명의 전수장학생을 더 추가 선정할 예정-.
「문화재보호법」(64년)의 제정·시행에 따라 시작된 무형문화재 지정은 70년대 후반의 활발한 발굴과 지정에 의해 15년만에 71개 종목으로 확대되는 급격한 발전을 이룩했다. 매년 2,3종목의 지정에 불과했던 무형문화재지정이 지난해의 경우 11개 종목 23명이 지정됐다.
이 같은 대량의 지정은 근래 붐을 이룬 민속학회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등을 통한 활발한 무형문화재의 발굴에 따라 이루어졌다.
무형문화재는 사람에 의해 전승·보존되는 문화재이기 때문에 그 기능과 예능보유자를 보호해서 활동을 지속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그러나 활발한 발굴·지정과는 달리 정부당국의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흡한 점이 많았다.
지금까지의 인간문화재들에 대한 정부지원은 71년부터 시작된 생계보조금지급, 직계가족을 포함한 국·공립병원의 무료진료 혜택 등에 불과했다.
금년부터 월11만원이 된 생계보조비는 인간문화재들의 대체적인 빈곤한 생활현실이나 그들이 지닌 가치성에 비추어 미흡하다는 게 지배적인 여론이었다. 79년까지도 월5만원밖에 안됐던 보조금이 80년부터 1백%인상돼 겨우 10만원선을 넘었다.
무형문화재의 발굴이나 후계자양성 등에 대한 정부당국의 노력은 그 기능보유자들의 소홀한(?)대우보다는 훨씬 적극적이었다. 무형문화재의 발굴 및 대중보급을 위한 정책 사업으로는 이미 60년대부터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인간문화재공예전 ▲중앙발표공연 등을 연례행사로 개최해왔다.
후계자양성을 위한 전수회관은 정부당국의 지원 등으로 현재 서울(봉산·강령탈춤 등). 양주(별산당놀이·소놀이굿 등), 충무(오광대), 고성(오광대), 진도(남도들노래·강강수월래)등의 각 1개씩과 부산(동래야유·수영야유 등)에 2개가 건립돼있다. 이밖에 금년 중으로 서울과 진주의 검무전수회관이 건립될 예정이다.
무형문화재의 기록보존사업도 그 동안 15종의 지정음악을 LP관 40장에 레코드 수록 보존했고 올해부터는 문화재보호협회가 대중보급판을 제작, 일반에게 보급중이다. 전통무용·연극·공예기술 등을 담은 기록영화도 24편이 제작됐다.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은 올해 안으로 ▲밀양백중놀이 ▲안동하회별신굿 탈놀이 ▲가산 오광대 ▲삼천포농악 등의 단체종목들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무형문화재계가 오랫동안의 숙원사업으로 열망해 오고있는 인간문화재 공예품의 상설전시장과 놀이종목의 상설공연장 건립 등은 아직도 구체적인 계획이 서있지 않다.
정부당국은 이 같은 쾌거를 계기로 무형문화재기능보유자들에 대한 일반의 구시대적인 잔존 인식을 일소시키고 그 귀중한 가치를 길이 보존하는데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계속 기울여야 하겠다. <이은윤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