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의 안전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미국「드리마일」도 원자력발전소에 이어 최근 16개소에서 또 방사능누출사고가 일어난 핵발전은 때마침 국내의 고리 원자력1호발전소의 잇따른 고장으로 결코 강건너불을 보는 것이 아닌 우리 주변문제가 되고 있다.
고리1호기는 지난 3월말 1차 냉각「펌프」의 고장이 생겼고 이번에는 2차계통의 급수「펌프」에 이상이 생겨 보수중이라고 한다.
한국전력측은 원자로격납용기내부의 고장이 아니므로 방사능누출위험은 없다고 하지만, 핵피해라는 것이 광범위하면서도 치명적인 것을 감안하면 결코 가볍게 보아넘길 수가 없는 것이다.
미국「드리마일」도의 원자로나 고리원자로가 똑같이 가압목형경수로(PWR)이고 미국의 사고가 2차계통에서 발생한 것이니만큼 우리의 핵발전에 대한 안전문제도 다시한번 심각하게 생각지 않을 수 없다.
국내에는 새년까지 8기, 2천년초까지는 44기의 핵발전소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이처럼 많은 핵발전소의 건설은 그동안 세계적으로 대형사고가 없어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데 근거하고 있었으나 이제는 안전설계에 결합이 많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핵발전건설계창도 이기회에 안전성을 우선하는 계획이 되어야하겠다.
고리1호기의 건설비용이 1천5백60여억원이 소요된데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핵발전소건설에는 막대한 자금이 소요된다.
입지도 만약의 경우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지형조건을 갖추어야하나 우리나라에는 그럴만한 적지가 흔치 않다.
뿐만아니라 발전에 필수품인 농축「우라늄」의 제조기술도 미국의 GE가 독점하고 있어 안정공급을 기약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고 핵발전소를 건설해 간다하여도 가장 중요한 안전문제에 있어서는 완전보장을 못하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핵발전소는 노중심에 다운의 방사성물질을 넣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잠재적 위험성이 있다.
핵발전의 안전성이 특히 강조되는 이유도 바로 그점에 있다.
그러나 78년9월 미국의 원발사고평가재검토「그룹」의 보고에 따르면 사고의 확솔계산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결론짓고 있어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음을 전해주고 있다.
더구나 우리의 기술수준으로써는 원자로의 안전설계를 평가할 수가 없기때문에 시공자측의 기술보장을 받아야하나 고리1호기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그것이 부완동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핵발전사고는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가 조밀한 지역에서는 그 피해가 더욱 확산되는 것이 필연적이다.
우리와 여건이 비슷한 일본은 안전심사의 기준을 노의 안전설계와 함께 입지심사기준에다 엄격히 규정하고있다. 즉 중대사고때 주변 공중에게 방사선장해를 주지않는다는 기본목표아래 사고가 났다해도 주변의 비거주지역, 저인구지대 방사선이 미국과 같이 25「렘」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있다.
그럼에도 일본은 핵발전에 대한 안전문제룰 재고하고 있다고 외신은 보도하고 있다.
우리도 현행 원자력법등을 보완하는등 행정조치와 함께 핵발전사고를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기술수준의 향상을 기해야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