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강홍준의 줌마저씨 敎육 공感

먹는 거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강홍준
강홍준 기자 중앙일보 데스크
강홍준
논설위원

신동원 휘문고 교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의 학교 급식’을 사진 찍어 올린다. 점심이나 저녁 급식엔 어떤 반찬이 나왔는지 한눈에 보인다. 덤으로 아이들의 표정도 읽을 수 있다. 반찬이 가득 담긴 급식판 옆에선 아이들의 흐뭇한 표정이 번진다. 어느 학교 급식이 제일 좋은지 아이들은 잘 안다. 학교를 선택하는 기준이 부모는 입학성적이라면 많은 아이들은 급식을 손꼽는다.

 아이들에게 중요한 급식이지만 요즘 들어 갈수록 핏기를 잃어간다. 특히 무상급식이 시작된 뒤 중학교 급식에선 먹을 만한 게 없다는 아이들 푸념이 나온다. 급식 단가(서울의 경우 중학교 4100원)가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비싼 친환경 농산물로 식재료를 채우다 보면 반찬 가짓수가 많을 수 없다. “풀만 먹고 사느냐”는 항변이 나오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이런 급식이 이번 6·4 지방선거에서 정치인들에 의해 ‘친환경’과 ‘농약’이란 양극단으로 인식(포지셔닝)되고 있다. 정몽준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는 서울시에 대한 감사원 감사 자료를 바탕으로 “아이들에게 농약 급식을 줬다”고 박원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공격했다. 박 후보는 처음엔 “감사원 감사 결과엔 그런 내용이 없었다”고 부인했다가 “감사 자료 각주에 그런 내용이 있었으나 감사원의 조치 내용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렇다면 정 후보가 주장하는 농약 급식은 온통 농약으로 버무려진 급식일까. 감사원 감사 결과를 보면 서울시 친환경유통센터를 거쳐 학교에 납품된 농산물 중 일부에서 허용기준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것으로 나온다. 잔류농약 검사 결과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농산물의 생산자가 서울시 관내 469개 학교에 참나물 등 10개 품목 8t가량의 농산물을 납품한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농약 덩어리를 삼키는 급식은 아닌 게 분명하다.

 또한 친환경은 무농약이고, 안전하다는 등식을 내세워 학교 급식 식재료 공급을 친환경유통센터에 독점케 했던 서울시는 어떤가. 그동안 친환경엔 농약이 없다고 수차례 강조한 건 서울시와 박원순 시장이었다. 친환경을 강조하며 학교 납품을 독점한 친환경유통센터는 2012년 납품 수수료 수입만 47억원을 챙겼다. 아이들의 먹거리를 가지고 어른들이 잇속을 챙기는 게 무상급식의 현실이다.

 농약 급식, 친환경 급식은 정치인들의 이름붙이기(네이밍)다. 아이들이 매일 접하는 급식에 대해 이런 말을 붙이는 것 자체가 모독이다. 더 이상 먹는 거 가지고 장난치지 말았으면 한다.

강홍준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