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경제 선생님] 8가지 용돈 규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새 학기가 곧 시작됩니다. 3월 새 학기엔 학년이나 학교가 바뀌기 때문에 아이들 스스로 새로운 마음을 먹게 됩니다. 3월은 용돈주기와 용돈과 관련된 교육을 시작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용돈은 아이들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마음대로 군것질할 돈, 오락할 수 있는 돈으로 말입니다.

그러나 용돈이란 정해진 기간마다, 규칙적으로 받는 정해진 금액의 돈으로, 받는 어린이가 스스로 관리하는 책임과 권리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말입니다. 어른들의 월급처럼 말입니다. 용돈을 준다는 것은 자녀들에게 돈의 사용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재량권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자녀에게 용돈을 줄 때 중요한 것은 액수가 아닙니다. 용돈의 사용처와 사용방법을 어떻게 정하도록 하느냐는 것이 더 중요하지요. 용돈교육을 시작하는 부모님들께 다음을 권합니다.

①우선 자녀의 소비생활을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한달간 자녀의 소비생활을 함께 파악해 보십시오. 부모가 자녀를 위해 쓰는 돈과 자녀가 직접 쓰는 돈을 모두 따져 보십시오. ②자녀와 일년간의 소비생활을 계획해 보세요.

특히 어버이날이나 친구 생일 등을 목록에 적어놓고 그 날에 필요한 선물과 금액을 계산해보세요. ③이런 소비 계획에서 자녀가 자신의 재량으로 지출해야 하는 항목들을 골라보세요.

이런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자신의 용돈으로 해결 가능한 소비와 그렇지 않은 소비를 가려내게 되고, 용돈을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④위의 내용들과 가정의 경제형편을 고려해 용돈 액수를 정하십시오. ⑤용돈을 얼마마다 줄지를 결정하십시오. 형편에 따라 다릅니다만, 처음은 일주일 단위로 시작하시고 차츰 월 단위로 기간을 늘리시는 게 좋습니다. 일주일마다 용돈을 주실 때는 한달 용돈을 정해놓고 주 단위로 나눠 주는 게 낫습니다.

⑥용돈을 주는 날짜를 구체적으로 정하십시오. 가급적이면 일요일 저녁이나 월요일 아침이 좋습니다. 주말의 과소비를 예방하고 한 주가 시작되기 전에 소비생활을 계획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⑦다음 용돈을 받기도 전에 용돈을 다 써버렸을 때 어떻게 할지에 대한 규칙을 정하시길 권합니다. 가불을 허용하면 용돈을 헤프게 쓸 우려가 있습니다만 특별한 경우를 생각해 가불 규칙을 정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불이 잦아지면 용돈을 깎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⑧위의 모든 결정사항들을 문서로 만들고 아이와 함께 도장을 찍으세요. 그리고 한 장씩 소중히 보관하세요. 자녀들은 부모님과 함께 문서의 내용을 지키면서 계약의 의미를 알게 될 것입니다.

김정훈 원광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