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초절전 PC 만들기 - 2

중앙일보

입력

APCI 시스템 꾸미기

1. APCI는 APM보다 더 상세하고 효율적인 전원 관리를 가능케 한다. 앞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이 기능은 윈도 98에서만 지원하며, 또한 설치시 특정 옵션을 지정해야만 사용할 수 있으니 유의하기 바란다.

2. APCI는 APM에 비해 아직은 하드웨어 특성을 많이 타는 경향이 있으므로 시스템이 불안해졌다면 사용치 않는 것이 좋다.

3. ACPI 전원 관리 기능을 이용하려면 시스템 바이오스에서 ACPI 옵션을 'Enable'로 먼저 바꿔야 한다.

4. 이제 윈도 98을 설치할 차례다. 설치시 도스 상태에서 'Setup /P J'라는 옵션을 기입한 후 키를 누른다.


5. 설치가 끝난 후 시작 버튼의 '실행'에서 'regedit'를 기입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킨다.


6.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Detect'에서 '등록' 버튼을 누르고 문자열 또는 DWORD로 종류를 지정한 뒤, 변수 이름을 'ACPIOption'으로 등록한다.


7. 이제 변수 이름에 마우스를 놓고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수정'을 선택, '01 00 00 00'을 기입한다.


8. 이어서 '새 하드웨어 추가'를 클릭하고 새 하드웨어를 검색하는 옵션을 실행시키면 온 나우(On NOW) 기능을 설치하게 된다.


모니터 절전이 가장 중요!

가장 전원을 많이 아낄 수 있는 부분은 모니터이다. 모니터의 절전은 시스템 전체 절전보다도 오히려 효과가 있다.

제품별로 큰 편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15인치 제품은 61W, 17인치 제품은 103W, 19인치 제품은 109W 정도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러한 전력 소모가 스탠바이 모드로 들어가면 15인치는 40W, 17인치는 64W, 19인치는 70W로 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서스펜드 모드로 들어가면 5W, 10W, 12W로 일반 사용 상태에 비해 거의 1/10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원 관리 등록 정보 창의 모니터 끄기 옵션을 활용하거나 바이오스의 절전 옵션을 충분히 이용하도록 한다. 물론 구입할 때 아예 전기 사용량이 적은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절전에 도움이 된다.

바이오스 설정하기

1. 대부분의 경우 윈도보다 바이오스의 전원 관리 기능이 더 상세한 설정을 할 수 있어 절전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여기서는 어워드 바이오스를 기본으로 전원 관리 기능 설정 요령을 알아보자.

2. PC를 재부팅할 때 'Del' 키를 눌러 CM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간다. CMOS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는 기본 키는 'Del'키이나, 경우에 따라 'F2' 또는 'Esc'키를 누른 후 기능키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잘 모른다면 구입처에서 문의하도록 한다.

3. 메인 화면에서 'Power Management Setup'을 선택하면 시스템의 전원 관리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APCI function

APCI 옵션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항목을 활성화시켰다고 해서 APCI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윈도 98을 APCI 옵션으로 설치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Power Management

어떠한 시스템 전원 관리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지정한다. 절전 기능을 설정하려면 'Enable'을 선택해야 한다. MAX Saving은 System Doze Mode와 Standby Mode, Suspend Mode를 1분 간격으로 계속 실행해서 가장 높은 절전 효과를 가져온다. 참고로, System Doze Mode는 CPU의 속도를 낮추어 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이며, Standby Mode는 하드디스크와 모니터를 꺼 전력 사용을 절감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Suspend Mode는 CPU를 제외한 모든 장치의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다. Min Saving은 1시간 간격으로 이러한 과정을 진행하며, User Define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대로 전원이 관리된다.

PM Control by APM

윈도와 바이오스의 전원 관리 기능을 연계해 사용할 것인지 지정한다. 이는 APM 모드인 경우로만 한정되며, 일반적으로 'Enable'로 설정하면 된다.

Video Off Method

모니터 절전 모드의 방식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V/H SYNC+Blank, DPMS Support, Black Screen의 세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이 중 V/H SYNC+Blank가 가장 높은 절전 효율을 보이므로 에너지스타 로고가 있는 모니터라면 이 옵션을 선택하도록 한다.

Doze Mode

Power Management가 Use Define으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며, CPU 속도를 떨어뜨려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는 Doze Mode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Standby Mode

Power Management가 Use Define으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며, 하드디스크와 모니터의 동작을 멈춰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는 Standby Mode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Suspend Mode

Power Management가 Use Define으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며, 시스템에서 CPU 외의 모든 동작을 멈춰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는 Suspend Mode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HDD Power Down

Power Management가 Use Define으로 설정된 경우 활성화되며, 일정 시간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드디스크를 멈춰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

하이버네이션이란?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은 한 마디로 전력 공급 중단에 대비한 데이터 보호 기능이다. 주로 전력 사용량에 민감한 노트북에서 사용되며, 노트북 배터리의 완전 방전으로 인해 작업 중이던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원된다.

즉, 전원이 위험 수위에 다다르게 되면 메모리와 비디오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미리 할당되어 있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안전하게 전원을 종료하게 된다. 이후에 전원을 다시 켜게 되면 전에 작업하던 상황 그대로 돌아가게 된다.

또 다른 노트북의 절전 기능으로는 서스펜드(Suspend) 모드가 있으며, 이는 시스템을 종료하지 않고 최소한의 전력만 유지한 채로 두었다가 바로 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자료제공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