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한산성 쌓은 장태흥, 국보 '기사계첩' 그린 장태흥이었다

    북한산성 쌓은 장태흥, 국보 '기사계첩' 그린 장태흥이었다

    북한산성 대성문 각자. 禁營 監造牌將 張泰興(금영 감조패장 장태흥)이라고 새겨져 있다. 장태흥은 북한산성 대성문과 대동문 축조를 감독한 뒤 궁정 화가가 돼 국보 '기사계첩'을 그

    중앙선데이

    2021.02.06 00:02

  • [유성운의 역사정치] 조선시대 탕평을 무너뜨린 질문, "너의 DNA는?"

    [유성운의 역사정치] 조선시대 탕평을 무너뜨린 질문, "너의 DNA는?"

    영·정조 때의 정치적 특징이라고 한다면 단연 ‘탕평’입니다. 경전 해석부터 사도세자에 대한 입장까지 학문적·정치적으로 갈라져 있는 집단들을 묶어 ‘협치’를 이룬다는 것은 지난한

    중앙일보

    2018.12.23 07:00

  • ‘500년 조선’을 파는 매국 협상, 30분 만에 상황 종료

    ‘500년 조선’을 파는 매국 협상, 30분 만에 상황 종료

    한일합방에 찬성한 내각 각료들이 일본을 견학하고 있다. 아래에서 둘째 줄 왼쪽 여덟째가 대원군의 아들 이희(이준용 부친), 두 사람 건너 이재각, 한 사람 건너 순종의 장인 윤택

    중앙선데이

    2011.06.18 00:01

  • 이구영 추모사진전 및 기념 책자 출간회

    이구영 추모사진전 및 기념 책자 출간회2006년 작고한 노촌(老村) 이구영 선생을 추모하는 사진전(13~18일 동예헌 갤러리)과 기념 책자 출간회(13일 오후 6시, 02-730-

    중앙선데이

    2008.10.11 22:39

  • 20세기 한국사 파란 겪은 한학자 이구영 옹 기려

    20세기 한국사 파란 겪은 한학자 이구영 옹 기려

    "어느새 선생님이 저희 곁을 떠나신 지 100일이 지났습니다. 저희의 미욱한 공부에도 흐뭇해 하시며 옛글을 깨우쳐 주시던 그 모습을 어찌 잊을 수 있겠습니까." 27일 오후 5시

    중앙일보

    2007.01.29 04:58

  • [삶과추억] 한학 대중화 앞장 선 '마지막 선비'

    [삶과추억] 한학 대중화 앞장 선 '마지막 선비'

    우리 시대 마지막 선비로 꼽혔던 한학자이자 서예가인 노촌(老村) 이구영 선생이 20일 오전 경기도 안양시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86세. 고인은 20세기 한국사의 '압축 파일

    중앙일보

    2006.10.21 05:07

  • 의병·독립운동 사료 6000점 기꺼이 …

    의병·독립운동 사료 6000점 기꺼이 …

    2일 오후 7시 서울 낙원동 이문학회 사무실. 아담한 전통 한옥이다. 회원들은 매주 목요일 이곳에 모여 사마천의 '사기요선(史記要選)'('사기'의 핵심을 간추린 책)을 공부한다.

    중앙일보

    2006.03.04 07:38

  • 현대사 격랑에 맞선 이구영씨의 삶

    기록으로서의 역사에는 여백 혹은 행간이 있다. 그 여백을 읽어내는 감수성은 독자 개인들의 몫이다. 역사를 보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그 여백을 메우고 있는 수많은

    중앙일보

    2001.05.19 08:43

  • [신간 리뷰] '역사는 남북을 묻지…'

    기록으로서의 역사에는 여백 혹은 행간이 있다. 그 여백을 읽어내는 감수성은 독자 개인들의 몫이다. 역사를 보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그 여백을 메우고 있는 수많은

    중앙일보

    2001.05.19 00:00

  • 湖西義兵事蹟 번역 출판 한학자 이구영 씨

    한학자 老村 李九榮씨(74)가 최근 『湖西義兵事蹟』을 편역해냈다. 『湖西義兵事蹟』은 李씨의 부친인 李胄承.숙부 肇承이 구한말 제천에서 일어난 의병장 柳麟錫의 막하로 의병운동에 투신

    중앙일보

    1993.11.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