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화이자, 부작용 없는 면역억제제 개발

    이식된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부작용 없이 차단하는 새로운 면역억제제가 화이자 제약회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CP-690.550으로 명명된 이 새 면역억제제는 외부에서 들어온 조직을

    중앙일보

    2003.10.31 11:21

  • [런던大] 뇌졸중-심장마비 80% 차단 '칵테일 약' 개발

    뇌졸중과 심장마비 위험을 8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칵테일 약(polypill)이 개발되었다. 영국 런던대학 예방의학연구소의 니컬러스 월드 박사와 맬콤 로 박사는

    중앙일보

    2003.06.27 17:37

  • 美, 정상혈압 기준 강화

    미국 보건당국은 고혈압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정상혈압의 기준을 종전의 120-129(수축기 혈압)/80-89(확장기 혈압)에서 120/80 이하로 강화했다. 미국 국립심장-폐-혈액

    중앙일보

    2003.05.15 11:09

  • 경구 당뇨병치료제, 심부전 유발 위험

    성인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경구 혈당강하제가 심부전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브루클린에 있는 연구기관인 폴리시 어낼리시스의 연구원 토머스 딜리어 박사

    중앙일보

    2002.03.20 11:11

  • 피로회복제, 정말 효과있을까?

    누구나 피로회복을 위해 각종 드링크제를 한번쯤은 마셔보았을 것이다. 또 마셔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진짜 피로가 풀릴까?"라는 의구심을 가져보았을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중앙일보

    2001.02.01 10:46

  • "뇌졸중 예방에는 이뇨제가 최고"

    혈압이 높은 사람이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여러종류의 혈압강하제 가운데 이뇨제를 택해야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의 올라프 클룽겔 박사는 미

    중앙일보

    2001.01.08 10:23

  • 혈압강하제 효과 차이 크다

    혈압강하제들은 혈압을 내리게 하는 효과는 같을지 몰라도 고혈압과 관련된 뇌질환과 심장질환 예방효과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웨이크 포리스트대학 뱁티스트 메디컬 센

    중앙일보

    2000.12.11 09:30

  • (11)고혈압과 식이요법|후두통·잦은 피로·무력감 증상

    건강문제를 생각할 때 사람들은 으레 혈압을 연상한다. 그래서 혈압이 높다는 의사의 선고를 마치 시한폭탄을 안겨주는 것처럼 생각하기도 한다. 사실 혈압은 살아있다는 객관적인 증거이며

    중앙일보

    1973.03.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