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글을 지은 이유를 새겨 듣기를

    한글을 지은 이유를 새겨 듣기를

    문자권 별 공책 공간 구획.로마자 문자권의 1차원 선형적인 4선 알파벳 쓰기와 5선 악보 공책.한글 문자권의 2차원 정방형적인 글씨연습, 글짓기, 한자 연습 공책.가로쓰기와 세로

    중앙선데이

    2017.05.07 00:02

  • 쓰러진 회사 살린 묘약, 바로 무한책임 자세

    쓰러진 회사 살린 묘약, 바로 무한책임 자세

    새벽기도에서 경영의 지혜를 얻는다는 심재수 청호컴넷 사장은 “신입사원 뽑을 때 능력이나 스펙을 1순위로 보지 않는다. 그보다 중요한 건 자세”라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중앙일보

    2014.04.23 00:23

  • IT 코리아 역사 바뀌나

    IT 코리아 역사 바뀌나

    전기뇌 장착 '한글 모아쓰기 텔레타이프'개발 뉴스를 다룬 1958년 12월 1일자 신문 기사.한국에서 개발한 첫 컴퓨터는 어떤 것이고, 누가 개발했을까. 최근 한양대가 1962년

    중앙일보

    2007.06.01 05:07

  • 「한글 기계화 모임」서 연구 발표|「한글 기계화」가 시급하다.

    국력의 신장과 직결되는 글자의 기계화는 이제 우리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이 과연 산업사회의 속도와 능률에도 적합한가 하는 시험대에 오른 셈. 한글학회(이사장

    중앙일보

    1978.10.09 00:00

  • 고속 유선「텔리타이프」|동양 통신, 1일 기해 개통

    동양 통신사는 7월1일을 기해 전국 지사 및 전 지방 신문사와 방송국에 대한 M150형 고속 한글 모아쓰기 「텔리타이프」송 수신을 유선으로 개시했다. 이는 폭주하는 구내의 기사를

    중앙일보

    1974.07.01 00:00

  • 한글 모아쓰기 인쇄 전신기 개발

    「텔렉스」 단말기와 일반 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한글 모아쓰기 인쇄 전신기가 송계범씨 (52·전 전남대 교수)에 의해 개발됐다. 송씨가 25년의 연구 끝에 완성한 NSP

    중앙일보

    1973.10.09 00:00

  • 발전 템포 빠른 세계의 언어학-한글학회 50돌 기념 외국언어학자 초청강연에서

    한글학회는 50돌 기념행사의 하나로 3일∼4일 세종「호텔」 해금강「홀」에서 외국언어학자 초청강연회를 가졌다. 미국의 「찰즈·필모어」박사 (「캘리포니아」대·언어학), 영국의 「이·제

    중앙일보

    1971.12.06 00:00

  • 또 하나의 「한글 흘림체」|황해룡씨가 고안

    글자의 개혁은 문화의 혁명이다. 한글의 자체를 개혁하자는 논란이 학계에서도 있곤 했지만 쉽게 채택되진 않았다. 최현배 박사는 그의 「말본」교과서 속에서 풀어쓰기를 제창하고 있다.

    중앙일보

    1966.10.11 00:00

  • 발명상에 빛나는|송계범씨의 「텔렉스 모아쓰기 텔리타이프」

    우리 한글은 세계적으로 뛰어 난 문자라고 국민학교에서는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한글에는 중요한 두 가지 결점이 있으니 하나는 아직도 완전치 못한 맞춤법이며 또 하나는 기계화의 어려

    중앙일보

    1966.05.19 00:00

  • 발명상도수여

    제10회 발명의 날 기념식이19일상오9시 시민회관소강당에서 박충혼상공부장관을 비롯한 많은 내외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거행 되었다. 9시정각 개회선언과 함께 시작한 기념식은

    중앙일보

    1966.05.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