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현장에서] "과학계 수장 물갈이, 이렇게 심한 적은 없었다"

    [현장에서] "과학계 수장 물갈이, 이렇게 심한 적은 없었다"

    허정원 과학&미래팀 기자 “너무나 갑작스럽고 한꺼번에 기관장 교체가 일어나고 있다. 대덕특구 내 과학인들의 위기감이 터질 듯하다”   지난달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중앙일보

    2018.12.06 00:02

  • "역대 정권 최악의 물갈이"···'과학계 칼바람' 대덕이 떤다

    "역대 정권 최악의 물갈이"···'과학계 칼바람' 대덕이 떤다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이 4일 오후 대전 카이스트 대회의실에서 과기정통부의 국가 연구비 횡령과 업무상 배임 등 각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중앙일보

    2018.12.05 18:09

  • [사람 속으로] 과학고 형들 제치고 발명왕, 산골 초등생 덕룡이의 기적

    [사람 속으로] 과학고 형들 제치고 발명왕, 산골 초등생 덕룡이의 기적

     ━ 전교생 30명 안동 녹전초등학교 ‘과학명문’ 된 비결 산골학교는 사교육 해방구다. 학교 과학실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자석구슬게임을 하고 있는 안덕룡군(맨 오른쪽)과 5학년 친구

    중앙일보

    2017.08.19 01:00

  • [비즈 칼럼] 인공장기 3D프린팅, 규제 풀어야 속도 낸다

    [비즈 칼럼] 인공장기 3D프린팅, 규제 풀어야 속도 낸다

    장규태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2016년 다보스포럼 이후 ‘4차 산업혁명’이 주목받고 있다. 세계는 3번의 산업혁명을 통해 폭발적인 발전을 경험했고, 4차 산업혁명이 열어갈 미래에 대

    중앙일보

    2017.05.11 01:00

  • [박방주가 만난 사람] “영장류 대량 번식해 연 100억원 국부 유출 막는 게 꿈”

    [박방주가 만난 사람] “영장류 대량 번식해 연 100억원 국부 유출 막는 게 꿈”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혈관조영실험실에서 장규태 센터장이 원숭이 뇌졸중 모델의 막힌 뇌혈관 상태를 분석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신동연 객원기자] “일본으로부터 혈통 좋

    중앙선데이

    2015.05.24 04:20

  • [인사] 고려대 국제대학원장 겸 국제학부장 오정훈外

    ◆고려대▶국제대학원장 겸 국제학부장 오정훈▶입학홍보처장 겸 사회봉사단 부단장(세종) 홍창수 ◆서강대▶경영학부학장 겸 경영전문대학원장 박영석▶글쓰기센터소장 이요안▶기술경영연구소장 최

    중앙일보

    2013.03.05 00:16

  • [science] 장기 이식 실험용 돼지·원숭이, 한 건물에서 키운다

    [science] 장기 이식 실험용 돼지·원숭이, 한 건물에서 키운다

    무균실에서 자라고 있는 필리핀 원숭이.인간과 닮은 장기를 가장 잘 생산할 수 있는 동물인 미니 돼지, 인간을 대신해 최고 단계의 질병과 장기 이식 등을 실험할 수 있는 동물인 원숭

    중앙일보

    2012.05.14 00:00

  • 유근철·손연수·이호인씨 과학기술훈장 1등급 받는다

    유근철·손연수·이호인씨 과학기술훈장 1등급 받는다

    왼쪽부터 이호인·손연수·유근철 박사.‘기부왕’ 유근철(84) KAIST 인재우주인건강연구센터 소장과 손연수(70) ㈜나노하이브리드 부설연구소장, 이호인(63) 서울대 교수 등 3명

    중앙일보

    2010.04.21 00:01

  • ‘올해의 과학자’로 뽑힌 장규태 국가영장류센터장

    ‘올해의 과학자’로 뽑힌 장규태 국가영장류센터장

    “신약 개발을 하면서 전임상(동물실험)을 하기 위해 이제 외국으로 나가지 않아도 돼요. 바이오 장기 연구와 신약 효능을 검증할 수 있는 원숭이는 물론 무균 돼지까지 모두 국가영장류

    중앙일보

    2009.11.18 01:48

  • ‘족보’ 있는 무균 미니 씨돼지 한국 왔다

    ‘족보’ 있는 무균 미니 씨돼지 한국 왔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혈통이 잘 유지된 무균 미니 돼지 종돈이 국내에 들어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는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일본생물과학연구소(NIBS)로부터 무상으

    중앙일보

    2009.01.09 01:53

  • [과학 칼럼] 신경과학 연구 돕는 영장류

    신경과학은 생명과학 연구의 마지막 판도라의 상자로 불린다. 뇌의 비밀을 풀 단서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 치매·정신분열병·헌팅턴무도병·파킨슨병·알츠하이머·간질 등의 질병 원인

    중앙일보

    2008.09.27 00:11

  • [과학 칼럼] 원숭이 사라지면 사람도 못 산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소에서 적게는 수백, 많게는 수천 마리의 실험용 원숭이가 사육되고 있다. 그들의 대부분은 SPF 시설(특정한 병원균들이 침입할 수 없는 특수시설)에서 사육

    중앙일보

    2008.09.20 00:08

  • [과학칼럼] 사람과 대화하는 침팬지 ‘칸지’

    1930년대 초 브라운관에 처음 등장한 킹콩과 타잔이 데리고 다니던 치타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들은 말을 하진 못했지만 주인공들과 눈빛이나 행동만으

    중앙일보

    2008.09.13 00:23

  • [과학 칼럼] 침팬지도 문화생활을 할까

    ‘침팬지도 문화생활을 한다’라고 말한다면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화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으로 본다. 그러나 침팬지도 상당한 수준의 문화를

    중앙일보

    2008.09.06 00:25

  • [과학칼럼] 아프리카 밀림의 한의사 원숭이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질병 치료를 위해 주변에서 서식하는 풀이나 나무 뿌리, 열매 등을 이용했다. 생채기에 찧어 붙이던 쑥은 물론이거니와 한약재로 사용하는 수많은 식물이 여기에 속한

    중앙일보

    2008.08.30 00:22

  • [과학 칼럼] 어떤 침팬지가 우두머리 되나

    동물의 세계는 약육강식의 사회로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다. 특히 수컷들은 무리의 우두머리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싸워 서열을 결정하고 질서를 유지한다. 물론 서열이 높으면 높을수록 암

    중앙일보

    2008.08.23 00:14

  • [과학 칼럼] 동기 유발하는 침팬지의 새끼 교육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이는 한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다음 세대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일컫는 말이다. 하지만 지나친 교육열은 사교육비 문제, 입시 과열, 조기유학 문

    중앙일보

    2008.08.16 00:03

  • [과학 칼럼] 원숭이는 왜 일부다처제인가

    가족은 혼인과 혈연으로 맺어진 애정집단으로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이룬다. 가족의 형태는 전통·문화·환경·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해 왔으며, 오늘날은 일부일처제 형태가 일반

    중앙일보

    2008.08.09 00:11

  • [과학 칼럼] 보노보에게서 배우는 상생

    갈등은 의지를 지닌 두 성격의 대립 현상이며, 인간사회와 함께 존치되었던 사회적 현상이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예부터 여러 가지 제도와 장치가 마련되어 왔다. 가장 고전적인 갈등

    중앙일보

    2008.08.02 00:09

  • 무균 원숭이 102마리에 '신약 개발' 희망 찾는다

    무균 원숭이 102마리에 '신약 개발' 희망 찾는다

    지난 주말 충북 오창과학산업단지 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의 무균 원숭이 사육실. 붉은털원숭이 수컷 한 마리가 암컷 8마리를 거느리고 있거나, 필리핀원숭이 암수 한 쌍이

    중앙일보

    2006.11.09 22:26

  • 비만 연구 쥐 국내 첫 개발

    비만 연구에 쓰일 실험용 쥐(랫)가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규태 박사팀은 11일 인간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집어넣은 비만질환모델 랫(사진)을 개발했으

    중앙일보

    2003.08.12 14:52

  • 비만 연구 쥐 국내 첫 개발

    비만 연구에 쓰일 실험용 쥐(랫)가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규태 박사팀은 11일 인간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집어넣은 비만질환모델 랫(사진)을 개발했으

    중앙일보

    2003.08.11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