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불량식품 벌칙 강화

    행정개혁조사위원회는 9일 보건·의료·약무행정 등 보건행정 전반에 걸친 조사를 완료하고 보건행정 개선방안을 마련, 곧 박대통령에게 보고키로 했다. 행정위원회는 이 보고서에서ⓛ전염병발

    중앙일보

    1966.12.09 00:00

  • 흉기팔아도 처벌

    정부는 청소년의 비행이 매년 격증하고 있으며(59년에비해 65년은 6배)의 저령화하고 질적으로 포악해가고 있는데비해 현행미성년자보호법은 청소년을 적극보호지도하기에 불충분하다고 단정

    중앙일보

    1966.11.23 00:00

  • 부정의약품에 대한 대법원의 판시

    최근 우리나라에 범람되고 있는 부정의약품은 「메사돈」 파동이후 급격히 국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의약품만이 아니라 음식물 또한 부정제조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당국의 철저한

    중앙일보

    1966.07.21 00:00

  • 농림부직원만|공무원 보리 배급

    농림부는 전 공무원에게 보리쌀을 배급키로 했던 보리밥 장려 안을 수정, 농림부 소속 공무원과 산하기관 직원들에 개만 3개월 월부 판매키로 하는 등 「보리쌀 소비확대 책」을 마련,

    중앙일보

    1966.07.01 00:00

  • 공익성 요금의 관허제 구상

    김 서울시장은 쇠고기·대중음식·이발·목욕탕·차값 등 시민생활과 관계가 깊은 공익요금을 통제하기 위하여 관허요금제를 구상, 경제기획원과 절충중에 있음을 밝혔다 한다. 지금까지도 이와

    중앙일보

    1966.06.22 00:00

  • 무방비 식품위생|불결해질 여름 앞둔 그 실태

    여름철의 식품위생실태는 어떠한가? 우리 나라의 식품제조 및 판매업소는 접객업소를 합쳐 유허가만 해도 40여 업종에 5만3천여 개소를 헤아린다. 그밖에 무허가가 많다. 당국은 무허가

    중앙일보

    1966.06.16 00:00

  • 민물고기 먹지말라|파는 음식점 허가 취소

    보사부는11일 우리나라에「디스트마」감염자가 약6백만명(간「디스트마 4백50만·폐「디스트마」약1백50만)이나 된다고 밝히고 여름철을 앞두고「디스트마」예방율 위해『담수어를 파는 식품업

    중앙일보

    1966.06.11 00:00

  • 각급 학교 자습 참고서|17종에 허가취소

    8일 상오 문교부는 현재 허가제를 실시하고 있는 각급 학교 참고서 가운데 허가 조건을 어긴 삼한출판사의 중학국어, 새표준자습서 등 17종에 대해 허가를 취소하고 무허가 참고서 「쓰

    중앙일보

    1966.06.08 00:00

  • 신용 타락한 ⓚ 표시품|「선전」노린 업주에 놀아난 「한국공업규격」의 맹점

    상공부는 23일자로 7개공장 제품인 13건의KS (한국공업규격) 표시품에 대한 대량판금 조치를 단행했다. 그러나 이번에 적발된 것은 「빙산의일각」에 부과한 것이며 아직도 시중에는

    중앙일보

    1966.05.26 00:00

  • KS상품을 판금 조처

    불량「케이·에스」표지품에 대한 경찰의 수사와 때를 같이하여 상공부는 동진화학등 7개회사의 13개「케이·에스」허가제품에 대해 23일자로 판매중지 조치를 내렸다. 이 조치는「케이·에스

    중앙일보

    1966.05.24 00:00

  • 보건소의 「수금」도 수사

    속보=가짜분유사건을 수사중인 공무원범죄 특별수사반은 서울시 산업국장 조성내씨 등 산업국당국자 5명에게 직무유기혐의로 구속승인을 상신했으나 검찰당국에 의해 만류되어 이들을 불구속으로

    중앙일보

    1966.02.24 00:00

  • 제제허가 취소

    [아미노피린]과 [실피린]이 들어있는 내복액이 유해하다는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의 약품안전대책위원회 통보를 받은 보사부는 중앙약사심의위원회 본회의의 의결을 거쳐 제제허가 취소를 내리기로

    중앙일보

    1965.11.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