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맑은 한강물

    서울 시민들의 식수원이 되고 있는 한강은 생물적 산소 요구량 (BOD)이 6·35PPM에 이르고 있어 취수원으로서는 부적 하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적되어 왔다. 노량진 취수구라든

    중앙일보

    1973.10.06 00:00

  • 서 남해 12개 연안 패류전멸|폐수 등으로 수질오염

    우리나라의 해수오염이 해마다 심해져 이미 서·남 연안의 12개소에서 패류가 전멸하고 일부 어족이 자취를 감추는 등 어장황폐화 현상이 나타나고있다. 또 하천 수 오염도도 크게 높아져

    중앙일보

    1973.03.31 00:00

  • (3)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상수도전기

    지난 홍수 때 서울은 상수도도 끊기고 전기마저 안 들어 온 곳이 많았다. 영등포전역을 비롯, 뚝섬·천호동 지역, 그리고 마포·연희동과 중심지 일부도 상수도가 20시간이상이나 단수되

    중앙일보

    1972.09.07 00:00

  • 식수 오염 예방 긴급조치|서울 상수도 취수구 이전계획과 찬·반 의견

    서울을 중심으로 한 인천 등 수도권 주민들에게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부는 상수도 원수 취수구를 한강상류 팔당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했다. 이 문제는 지금까지 한강

    중앙일보

    1972.05.29 00:00

  • 개발제한구역 지정관련 알아둘 몇 가지 방침들

    개발제한구역지정과 관련된 새 방침들이 최근 잇달아 공표되고 있다. 다음에 그 내용을 간추려 정리해 보면-. 건설부는 수도권개발 제한구역 지정에 이어 지방도시에도 개발제한구역을 지정

    중앙일보

    1971.09.25 00:00

  • 수원지 직원 관리 소홀 때문

    지난 15일게 부터 계속된 서울 시내 일부지역의 식수난 소동은 수원지 직원들이 시설관리 미비로 일어났음이 밝혀졌다. 노량진 수원지 관내 급수지역은 지난 15일게 부터 급수사정이 악

    중앙일보

    1967.06.24 00:00

  • 장마 뒤 걱정|연탄·식수난

    장마에 이어 서울시내의 급수사정과 연료사정이 악화되어 서민생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요즈음 시내변두리에는 19공탄이 모자라 한 개에 11원씩 호가하고 있으며 그나마 품귀해서 사

    중앙일보

    1966.07.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