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민중당 기조 연설 요지

    우리 민중당은 이 나라의 미래상으로서 다음의 3대 목표를 실정코자한다. 1, 공포와 빈곤으로부터 해방된 민주 사회를 건설하자. 2, 모든 국민에게 삶을 보강하는 대중 경제 체제를

    중앙일보

    1967.01.21 00:00

  • (4) - 신상초

    나는 언젠가 「여당이란 건달의 소굴이요, 야당이란 실업자의 집결체」라는 자극적인 표현을 썼다가 정당한다는 사람들로부터 대단히 나무랐다는 말을 들은 일이 있다. 이와 같은 표현은 무

    중앙일보

    1967.01.16 00:00

  • 근로자교육…실기80%·이론20%|기술 높여 안정|노동청 5년 계획…20억 들여 13만명|…기능·교사훈련

    정부가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행을 위해 세워 논 과학기술계 인력 수급 계획 중 16만 5천명의 기능공 양성은 지난 21일 국회가 직업훈련법안을 통과시킴으로써 본 궤도에

    중앙일보

    1966.12.27 00:00

  • 현실에 발붙인 「설계」들|이대졸업반 「앙케트」

    여자대학을 졸업하는 한국의 젊은 지성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간절히 원하며 그들은 대학 안팎의 생활을 어떻게 평가하고 설계하는 것일까. 이화여대 생활지도부에서는 동교 67년도 졸업생

    중앙일보

    1966.12.01 00:00

  • 여자의 직업|부모들이 원하는 형태|충남 교육 연구소 연구사|김재설씨의 발표에서

    학창생활을 끝내고 직업전선에 첫발을 내딛는 청소년들은 우선 어떤 직업을 선택할것인가하는 난문제가 앞에놓인다.자신이 학교에서 전공하던 분야에 계속 투신하는 청소년들도 많이있으나 우리

    중앙일보

    1966.11.26 00:00

  • (9) 정책입안(상)

    공화당은 지난 집권2년 동안 정책의 결정·집행에서「국외자」와도 같은 처지에 놓였었다. 중요정책의 입안에 새 방향을 제시한 적이 거의 없었으며 결정과정에도 집권당으로서의 뚜렷한 주장

    중앙일보

    1966.05.17 00:00

  • 한국인의 정치적 무관심|조일문교수 논문에서

    「정치적 무관심은 일반적으로 지배층에게 유리하며, 따라서 권력의 반동화를 가져오기 쉽다. 왜냐하면 변혁은 국민의 적극성 없이는 이루어질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라이트·밀즈」의

    중앙일보

    1966.05.17 00:00

  • 직위 분류제 채택

    정부는 신분과 자격을 위주로 해서 계급별로 실시되고 있는 현행 공무원 인사관리제도를 대폭 개편, 직무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인사관리를 실시하는 직위분류제도를 채택, 내년부터 실시할

    중앙일보

    1966.04.19 00:00

  • 정당정치의 구현과 정당의 체질개선

    연말의 정계동향은 부분적인 개편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공화당은 곧 전당대회를 열어 당내 및 원내요직을 개편케되리라 하며, 민중당 또한 당기구를 정상화하여 탈당과 분당소동이 자아

    중앙일보

    1965.12.06 00:00

  • 처우도 군인과 같게

    내부부는 근무업무량에 비해 봉급이 적고 생활보장이 안되고있는 경찰공무원들을 위해 처우개선, 계급세분화, 연금제도 신설등을 주요 골자로한 [경찰공무원법]을 성안, 새해 1월에 법제처

    중앙일보

    1965.12.06 00:00

  • 국가 공무원법 개정에 따른 별정직 공무원 정치활동

    정부는 지난 20일 ①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별정직 공무원의 정치활동을 허용하고 (개정법 제3조 단서) ②직무 수행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정되어 대기발령을 받고도 3개월간 무 보직일 경우

    중앙일보

    1965.10.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