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3·1운동 1년 후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3·1운동 1년 후

    이덕일역사평론가1919년 9월 2일 신임 총독 사이토 마고토(齋藤實)가 부임하러 남대문역(현 서울역)에 도착하자 만 64세의 청년 노인 강우규(姜宇奎)가 폭탄을 던졌다. 사이토와

    중앙일보

    2012.03.02 00:29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탈국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탈국

    이덕일역사평론가임금들의 학정에 대항할 수 있는 백성들의 무기가 탈국(脫國·국외탈출)이었다. 『삼국사기』 고구려 대무신왕(大武神王) 2년(서기 19) 1월조는 “백제 백성 1000여

    중앙일보

    2012.02.29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봄꽃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봄꽃

    이덕일역사평론가봄꽃을 연화(煙花)라고 한다. 안개(烟) 속에 피는 꽃(花)이란 아지랑이 속에서 피는 꽃을 뜻하리라. 시성(詩聖) 두보(杜甫)의 ‘상춘오수(傷春五首)’에서 나온 말인

    중앙일보

    2012.02.27 00:00

  • 문제다 … 회전문 인사, 양극화, 측근 비리

    문제다 … 회전문 인사, 양극화, 측근 비리

    이명박 정부의 공과를 논해 달라는 요청에 이덕일 역사평론가와 명지대 이영아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는 “잘한 걸 떠올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른 필진 대부분도 과(過)를 논할 때 시

    중앙일보

    2012.02.25 00:58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국왕의 반성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국왕의 반성

    이덕일역사평론가소의간식이란 말이 있다. 줄여서 소간이라고 하는데 새벽(宵)에 옷을 입고 해진 후에야 식사를 할 정도로 국왕이 정사에 부지런하다는 뜻이다. 소간지우라는 말은 그래서

    중앙일보

    2012.02.24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담파고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담파고

    이덕일역사평론가조선의 유명한 애연가(愛煙家)는 계곡(谿谷) 장유(張維·1587~1638)인데 그는 ‘담배의 효능을 칭송한다(稱頌南草之效能)’는 글도 남겼을 정도다. 이 글에서 장유

    중앙일보

    2012.02.22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홍매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홍매

    이덕일역사평론가겨울에 피는 매화(梅花)는 선비의 지조를 나타내면서 봄소식을 뜻한다. 매화 중에는 붉은 꽃, ‘홍매(紅梅)’가 있다.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 고젠 히로시(興膳宏)가 쓴

    중앙일보

    2012.02.20 00:11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공생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공생

    이덕일역사평론가조선 후기 호조(戶曹) 서리(胥吏)였던 김수팽(金壽彭)이 하루는 동생의 집에 갔더니 마당에 줄지어선 동이에 검푸른 염료가 묻어 있었다. 무엇을 하느냐고 묻자 ‘제 처

    중앙일보

    2012.02.17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난세(2)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난세(2)

    이덕일역사평론가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다. 난세는 특히 야심가들에게 바라 마지 않는 기회다. 조조(曹操)가 그런 인물이다. 『후한서(後漢書)』 ‘허소열전(許?列傳)’에 따르면 허소

    중앙일보

    2012.02.15 00:02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난세 (1)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난세 (1)

    이덕일역사평론가대동(大同)과 소강(小康)보다 못한 사회가 난세(亂世)다. 전국(戰國)시대 공양고(公羊高)가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서 분류한 것으로 태평(太平·대동), 승평(升

    중앙일보

    2012.02.13 00:03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소강사회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소강사회

    이덕일역사평론가앞 칼럼에서 말한 대동(大同)사회보다 조금 못한 세상이 소강(小康)사회다. 조선 태종은 재위 7년(1407) 종3품 이하 문신들의 시험 때 직접 시무책(時務策)을 출

    중앙일보

    2012.02.10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대동사회(2)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대동사회(2)

    이덕일역사평론가동양 유학 사회에서 이상으로 삼았던 대동(大同)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예기(禮記)』 ‘예운(禮運)’ 편에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공자(孔子)가 농사의 신인 신농

    중앙일보

    2012.02.08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대동사회 (1)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대동사회 (1)

    이덕일역사평론가조선 선조 때의 선비 정여립(鄭汝立)은 벼슬을 그만두고 전라도 진안(鎭安) 죽도(竹島)로 낙향해서 서실(書室)을 짓고 대동계(大同契)를 조직했다. 노서(魯西) 윤선거

    중앙일보

    2012.02.06 00:02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입춘첩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입춘첩

    이덕일역사평론가입춘 때 대문에 입춘대길(立春大吉), 또는 건양다경(建陽多慶) 같은 글귀를 크게 써서 붙여두는 풍습이 있었다. 입춘첩(立春帖), 줄여서 춘첩(春帖)이라고도 하고 도부

    중앙일보

    2012.02.03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가인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가인

    이덕일역사평론가한(漢)나라의 이연년(李延年)은 유명한 가인(歌人)이다. 『한서(漢書)』 ‘이연년 열전’과 ‘효무 이부인(孝武李夫人) 열전’은 “새롭게 소리를 바꾸어서 노래를 잘했다

    중앙일보

    2012.02.01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극기복례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극기복례

    이덕일역사평론가『논어』 ‘안연(顔淵)’ 편은 안회가 인(仁)에 대해 묻자 공자가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을 하는 것(克己復禮爲仁)”이라고 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극

    중앙일보

    2012.01.30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부러진 화살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부러진 화살

    이덕일역사평론가조선의 사법체계는 절묘했다. 수사권을 가진 수사기관은 여럿 있었다. 중대 사건을 수사하는 사헌부(司憲府)와 왕명 사건을 수사하는 의금부(義禁府)가 있었다. 서울시에

    중앙일보

    2012.01.27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왕정월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왕정월

    이덕일역사평론가다산 정약용은 흑산도에 유배 중인 형 정약전(丁若銓)에게 보낸 편지에서 “『춘추(春秋)』의 봄 왕정월(春王正月)은 자월(子月)입니다”라고 말했다. 공자가 지은 역사서

    중앙일보

    2012.01.25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당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당

    당(黨)이란 원래 고대 가호(家戶)를 묶는 단위였다. 다섯 가호가 린(隣)이고, 다섯 린이 리(里)다. 스물다섯 리, 즉 오백 가호가 당(黨)이다. 고대에는 정치적 목적의 당(黨)

    중앙일보

    2012.01.20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여인천하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여인천하

    신라에만 여왕이 존재했던 것은 신라만 유독 여성의 지위가 높았기 때문은 아니다. 『신당서(新唐書)』 ‘신라조’는 “시장(市)에서 사고파는 것은 모두 여성들이 한다”고 밝혀 신라 여

    중앙일보

    2012.01.18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우금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우금

    조선에는 세 가지를 금한다는 삼금(三禁)이 있었다. 함부로 술을 빚지 못하는 주금(酒禁), 소나무를 베지 못하는 송금(松禁), 소를 잡지 못하는 우금(牛禁)이었다. 그만큼 소가 귀

    중앙일보

    2012.01.16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하방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하방

    임금은 선농제(先農祭)를, 왕비는 선잠제(先蠶祭)를 지냈다. 왕이 직접 친경(親耕)하고 선농단(先農壇)에서 농사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또한 농사의 작황을 살피는 관가(觀

    중앙일보

    2012.01.13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속현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속현

    부부 중 한쪽이 먼저 세상을 뜨는 것을 짝을 잃었다는 뜻의 실우(失偶)라고 한다. 고구려 유리왕은 까투리와 장끼의 사이 좋은 모습을 보고 떠난 치희(雉姬)를 그리워하면서 “불쌍하구

    중앙일보

    2012.01.11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중국 해적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중국 해적

    해적(海賊)은 보통 일본의 왜구(倭寇)를 생각하지만 당적(唐賊) 또는 당구(唐寇)라고 표현하면 될 중국 해적도 그 못지않았다. 장보고(張保皐)가 떨치고 일어선 것도 중국 해적 때문

    중앙일보

    2012.01.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