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프리·드로

    어제 저녁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국제농구경기는 두판다 한국「팀」의 승리로 끝나서 흐뭇하기 짝이 없었다. 동남아에서 농구만 1등 하지 말고 살림살이도 1등이었으면 얼마나 좋겠느냐는 것

    중앙일보

    1966.09.20 00:00

  • 첫얼음·첫서리

    오동잎이·지는것을 보고 비로소 가을인줄 알았다는것은 벽지에서 유배생활을하던 정철의 고백이다. 그러나, 오동잎을보고 가을을 느꼈다는것은 도리어 사치스러운일이 아닌가 싶다. 현대인들은

    중앙일보

    1966.09.16 00:00

  • 산하(13)「금수강산의 기원」…수재없는 옥토|다목적 「댐」의 웅도를 펼쳐라!

    예부터 일러 치산치수는 치정의 대도라 했다. 물을 다룰 수 있는 힘을 보유하는 것-. 이것은 곧 국력을 배양할 수 있는 소지를 마련하는 가장 근본적인 명제였다. 「물싸움」-. 물

    중앙일보

    1966.07.19 00:00

  • (2)양정의 자취

    작·금년에 와서 쌀값이 가을시세와 보릿고개 시세가 전례없이 평준화를 유지, 그래서 해마다 봄철이면 겪던 쌀값 소동도 자취를 감추고 다락방에 쌀가마를 쌓아두어야 했던 것도 이젠 옛

    중앙일보

    1966.06.23 00:00

  • 한층 밝아오는 「경지」| 투고분석

    시적인 감동은 누구에게나 있다. 훌륭한 말을, 훌륭한 운율로, 훌륭한 배열을 하면 그것은 한 편의 시가 된다. 그러나 기도하는 자세와 같은 마음자리가 필요하다. 한 줄의 시를 읊조

    중앙일보

    1966.06.14 00:00

  • 속리산 기행초-김종윤

    법주사 고운 물에 손발을 적셔 보면 무위 귀를 모아 열려오는 서런 번뇌 마음도 나래를 여며 합장해선 시름이여. 고요한 법당 뜰악 불두화 지는 봄날 구름도 석탑가로 물레져 내리는데

    중앙일보

    1966.05.24 00:00

  • 「콜롬비아」의 66년 「세계 연감」…|빗나간 한국 지식

    우리 나라의 국명을 「CHOSEN」이라고 말한다면 듣는 귀가 외면하리라. 그러나 엄연한 사실. 한국 유학생이 발붙여 살고 있는 이곳 「보고타」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다. 세계에 비친

    중앙일보

    1966.02.08 00:00

  • 묵|박목월

    한 밤에 먹을 가는 손. 창문이 흥근히 젖는 눈오는 찬 밤에 먹을 갈아 시름을 달래는 손. 그 고독한 진정. 때로는 한 폭의 난초를 그리고 때로는 만지장서의 사연을 엮는 그리고 눈

    중앙일보

    1966.01.20 00:00

  • 영하의 세모…바쁜 걸음들

    다사다난했던 을사년도 막을 내린다. 두 동강이가 난 국토 통일의 숙원, 그 밖의 이루어야 할 많은 숙제를 그대로 안은 채 또 한해를 보낸다. 총총이 저물어 가는 세모의 거리엔 삶에

    중앙일보

    1965.12.30 00:00

  • 내일은 동지

    22일은 동지-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다. 이날을 깃 점으로 해는 하루에 노루 꼬리만큼씩 길어지고, 팥죽을 끓여먹으면 액운이 풀린다해서 이날 옛날의 풍습에 따라 각 가정에서는

    중앙일보

    1965.12.21 00:00

  • 꽃과 국회|이봉순

    세상사가 온통 얽히고 얽혀서 삼 꺼풀처럼 실마리를 가려낼 수 없을 때 나는 꽃을 들여다본다. 모든 사람들이 다 옳고 나 혼자만 외톨로 남았을 때도 나는 꽃을 의지한다. 내가 가르친

    중앙일보

    1965.09.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