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과거사를 지우고 싶은 영조, 탕평을 제안하다

    과거사를 지우고 싶은 영조, 탕평을 제안하다

    ① 조문명 초상 조문명은 소론 탕평파로서 그의 딸은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부인이 되었으나 효장세자가 요절하면서 왕비가 되지 못했다.② 영조의 탕평비 성균관대 안에 세워졌다. ‘

    중앙선데이

    2016.03.27 00:03

  • 윤휴 북벌론 꺾은 사대부들의 이중성

    윤휴 북벌론 꺾은 사대부들의 이중성

    윤휴 초상. 진정한 북벌론자인 윤휴는 사대부의 각종 특권을 폐지해 민생을 강화한 뒤 광활한 요동 지역을 수복하자고 주장했으나 호응하는 사대부는 거의 없었다. 사진가 권태균 【총평

    중앙선데이

    2016.02.06 00:03

  • 지도층의 희생과 대동법, 天災에서 나라를 건져내다

    지도층의 희생과 대동법, 天災에서 나라를 건져내다

    18세기께 작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해동지도’의 경기도 편. 조정은 대동법 등으로 확보한 곡식을 조운을 통해 기근이 든 고장에 옮긴 다음 기민 구제용으로 풀어 많은 백성을 살렸다

    중앙선데이

    2016.01.17 00:03

  • 이선과 이산이 꿈꾸는 나라

    이선과 이산이 꿈꾸는 나라

    영화 사도의 한 장면.얼마 전에 영화 ‘사도(思悼)’를 보았다. 우리가 역사 시간에 배웠고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우수한 연출과 연기로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했다. 조선 왕조의 역사에

    중앙일보

    2015.10.17 10:04

  • [백가쟁명:유주열]영화 ‘사도(思悼)’와 수원 화성

    얼마 전에 영화 ‘사도(思悼)’를 보았다. 우리가 역사 시간에 배웠고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우수한 연출과 연기로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했다. 조선 왕조의 역사에서 드라마틱한 부분은

    중앙일보

    2015.10.16 09:43

  •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우유의 모든 것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우유의 모든 것

    곽재민 기자우유는 인류 역사상 가장 널리 음용되고 있는 영양식품 중 하나입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우유는 완전한 식품”이라고 예찬했을 정도니까요. 그런데 최근 우유에

    중앙일보

    2015.07.16 00:02

  • "몸에 좋다고 젖먹이도 피웠지 … 400년 살아남았는데 끊겠어?"

    "몸에 좋다고 젖먹이도 피웠지 … 400년 살아남았는데 끊겠어?"

    수원 팔달사에 있는 민화 ‘담배를 피우는 호랑이’. 이처럼 담배는 다양한 그림에 등장할 정도로 과거 민중의 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있었다. [중앙포토] 내 이름은 담배. 1일부터 몸

    중앙일보

    2015.01.03 01:15

  • 모태 약골 영조, 세 끼 챙겨 먹되 식탐 절제해 장수

    모태 약골 영조, 세 끼 챙겨 먹되 식탐 절제해 장수

    중앙포토 태조에서 26대 고종까지….  조선의 왕들은 대체로 건강하지 못했다. 백성들보다는 오래 살았지만 평균 수명이 47세에 불과했다. 60세 환갑잔치를 치른 왕은 태조(74세

    중앙선데이

    2014.12.21 00:56

  • 조선 왕의 몸은 역사보다 정직하다

    태조에서 26대 고종까지….  조선의 왕들은 대체로 건강하지 못했다. 백성들보다는 오래 살았지만 평균 수명이 47세에 불과했다. 60세 환갑잔치를 치른 왕은 태조(74세)·정종(6

    중앙일보

    2014.12.20 18:02

  • [2014 문화어 사전] 십상시

    [2014 문화어 사전] 십상시

    [명사] 十常侍. 중국 한나라 영제 때 권세를 장악했던 장양 등 열 명의 환관을 통칭해 부르던 말. 조선의 내관은 두루 교양을 갖췄다는 점에서 중국과는 달랐다. 영화 ‘역린’(4월

    중앙일보

    2014.12.14 00:05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조선시대 '행궁' 과거와 현재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조선시대 '행궁' 과거와 현재

    1 1904년 출간된 `한국건축조사보고`에 실린 북한산성 행궁의 당시 모습. 경사지를 따라 지어진 건물이 울창한 숲에 둘러싸여 있다. 행궁(行宮)은 왕이 궁궐을 떠났을 때 임시로

    중앙일보

    2013.10.24 00:29

  • 터럭 하나라도 틀리지 않게 깊은 속내까지 화폭에 담다

    터럭 하나라도 틀리지 않게 깊은 속내까지 화폭에 담다

    1 심환지초상 세부, 작자미상, 19세기 초, 보물 제1480호, 경기도 박물관 소장 문제적 인물들의 문제적 초상화들이다. 정형화된 조선시대 초상화 형식의 표피를 뚫고 흥미로운 인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14 00:01

  • 터럭 하나라도 틀리지 않게 깊은 속내까지 화폭에 담다

    터럭 하나라도 틀리지 않게 깊은 속내까지 화폭에 담다

    1 심환지초상 세부, 작자미상, 19세기 초, 보물 제1480호, 경기도 박물관 소장 문제적 인물들의 문제적 초상화들이다. 정형화된 조선시대 초상화 형식의 표피를 뚫고 흥미로운

    중앙선데이

    2013.07.12 23:39

  • "38년·124년 주기 가뭄 둘이 겹쳐 올핸 몸풀기 수준, 2015년이 진짜"

    "38년·124년 주기 가뭄 둘이 겹쳐 올핸 몸풀기 수준, 2015년이 진짜"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끝 모를 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를 제외하고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 두 달 가까이 비가 내리지 않고 있다. 서울은 5월 1일

    중앙선데이

    2012.06.24 03:42

  • “38년·124년 주기 가뭄 둘이 겹쳐 올핸 몸풀기 수준, 2015년이 진짜”

    “38년·124년 주기 가뭄 둘이 겹쳐 올핸 몸풀기 수준, 2015년이 진짜”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장마전선은 현재 동중국해에서 일본 규슈 남해안에 걸쳐 있으며 일시적으로 25일께 북상해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방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

    중앙선데이

    2012.06.24 01:02

  • 임진왜란 일어난 지 7주갑…안동서 구국공신 104인 추모

    임진왜란 일어난 지 7주갑…안동서 구국공신 104인 추모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년 4월 13일(음력). 쓰시마에서 출발한 700여 척의 일본 군선이 부산 앞바다에 모습을 드러낸다. 임진왜란 발발이다. 일본군 선발대 고니시 유

    중앙일보

    2012.06.01 02:04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우금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우금

    조선에는 세 가지를 금한다는 삼금(三禁)이 있었다. 함부로 술을 빚지 못하는 주금(酒禁), 소나무를 베지 못하는 송금(松禁), 소를 잡지 못하는 우금(牛禁)이었다. 그만큼 소가 귀

    중앙일보

    2012.01.16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백두산 정계비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백두산 정계비

    숙종 38년(1712) 세운 ‘백두산정계비’는 현재진행형 문제다. 문제의 발단은 당시 조선 대표들의 부적절한 처신에 있었다. 청의 대표는 오랄(烏喇:길림성)총관(總管) 목극등(穆

    중앙일보

    2011.07.13 00:16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정보기관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정보기관

    하늘을 우러러 떳떳한 정치를 표방한 조선은 따로 정보기관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예외를 인정한 분야가 군사였다. 그래서 정보기관원을 뜻하는 용어는 대부분 군사용어다. 정보를 염탐

    중앙일보

    2011.06.10 00:07

  •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대원군이 거주하던 운현궁의 노안당(사진 위)과 현판. 글씨는 추사 김정희가 쓴 것으로 대원군을 뜻하는 ‘석파선생’이란 글자가 눈에 띈다. 사진가 권태균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중앙선데이

    2010.10.03 05:55

  •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대원군이 거주하던 운현궁의 노안당(사진 위)과 현판. 글씨는 추사 김정희가 쓴 것으로 대원군을 뜻하는 ‘석파선생’이란 글자가 눈에 띈다. 사진가 권태균 개국군주 망국군주 고종②

    중앙선데이

    2010.10.02 21:02

  • ‘무관의 제왕’ 흥선군 권문세가와 전면전

    ‘무관의 제왕’ 흥선군 권문세가와 전면전

    대원군 초상 대원군은 극적으로 집권했지만 그 앞에는 과거와 전혀 다른 일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사진가 권태균 개국군주 망국군주 고종① 대원위 분부 시대1863년 12월 8일. 재

    중앙선데이

    2010.09.25 22:36

  • 임금을 묻은 다음 날, 노론은 역사를 되돌리기 시작했다

    임금을 묻은 다음 날, 노론은 역사를 되돌리기 시작했다

    다산 초당 정약용이 18년간 유배 생활을 한 전남 강진의 만덕산 기슭에 있다. 정약용의 일가는 정조 사후에 사형당하거나 유배를 당해 폐족 신세가 된다. 사진가 권태균 최근 정조가

    중앙선데이

    2010.08.15 01:39

  • 임금의 죽음 예고하듯, 상복 입은 ‘하얀 벼’ 기현상

    임금의 죽음 예고하듯, 상복 입은 ‘하얀 벼’ 기현상

    정조 건릉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데 정조와 부인 효의왕후 김씨를 합장한 무덤이다. 사도세자 묘소인 융건릉 곁에 있다. 노론 벽파는 시신을 땅에 묻자마자 정조가 키워온 남인들

    중앙선데이

    2010.08.07 2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