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KNC, T3급 CSU개발

    정보통신 전문업체인 ㈜KNC(대표 이용석)는 45Mbps의 T3급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CSU(Channel Service Unit)인 `Midas Stream CS3502D'를 개

    중앙일보

    2001.03.13 10:50

  • KNC T3급 CSU개발

    정보통신 전문업체인 ㈜KNC(대표 이용석)는 45Mbps의 T3급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CSU(Channel Service Unit)인 `Midas Stream CS3502D''를

    중앙일보

    2001.03.13 10:40

  • 마이크론 "D램 줄이고 플래시 메모리 늘린다"

    D램 분야의 강자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사업부문을 다변화, 플래시 메모리의 비중을 확대키로 해 주목을 모으고 있다. 마이크론 테큰로로지는 D램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체질을 바

    중앙일보

    2000.11.01 15:00

  • "D램 줄이고 플래시 메모리 늘린다"

    D램 분야의 강자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사업부문을 다변화, 플래시 메모리의 비중을 확대키로 해 주목을 모으고 있다. 마이크론 테큰로로지는 D램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체질을 바

    중앙일보

    2000.11.01 13:21

  • 현대전자 차세대 메모리 Fe램 개발

    현대전자는 D램과 S램, 플래시 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제품의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인 64K와 256K Fe램을 제품화하는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Fe램은 D램

    중앙일보

    2000.04.17 11:18

  •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메모리반도체중 대표적인 것은 롬(ROM)과 램(RAM)이다. 그중에서 롬은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비(非)휘발성 메모리지만 램에 비해 지우고 다시 써넣기가 불편

    중앙일보

    1995.02.20 00:00

  • 32메가 플래시칩 개발 신문5천장 저장 가능-三星電子

    삼성전자(대표 金光浩)는 20일 신문 5천장 정도 분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 핵심부품인 32메가 플래시 메모리반도체를 개발,샘플을 출하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30

    중앙일보

    1995.02.20 00:00

  • 三星,16M 플래시메모리 量産

    삼성전자(대표 金光浩)가 일본 도시바(東芝)에 이어 세계에서두번째로 차세대 메모리반도체인 16메가플래시메모리칩의 양산(量産)에 들어갔다. 삼성전자가 25억원을 들여 지난해 12월

    중앙일보

    1994.11.25 00:00

  • 32메가 마스크롬/삼성전자 첫 개발

    삼성전자는 회로선폭이 0.5미크론급으로 처리속도도 1백50나노초(1나노초는 10억분의 1초)인 32메가 마스크롬을 개발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 반도체는 현재 세계시장에 나와있는

    중앙일보

    1992.07.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