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농약 대신할 천연물질, 자생 곰팡이서 찾았다

    농약 대신할 천연물질, 자생 곰팡이서 찾았다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체인 지의류. 지의류 곰팡이에서 농약 대체 천연물질이 분리됐다. [사진 국립생태원] 멜론·참외·수박 등 식물에 기생하며 병을 일으켜 식물을 말라죽게 하는 뿌리

    중앙일보

    2017.06.20 14:52

  • 멸종위기야생생물 '장수삿갓조개' 서해5도서 첫 발견

    멸종위기야생생물 '장수삿갓조개' 서해5도서 첫 발견

     인천 서해5도에 멸종위기 야생생물(2급)인 장수삿갓조개의 국내 최대 개체군이 발견됐다. 서해5도에서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백령도 북쪽에서 발견된 장수삿갓조개 [사진

    중앙일보

    2017.06.14 17:09

  • 사라진 식물 칠보치마 수원 칠보산에 되살린다

    사라진 식물 칠보치마 수원 칠보산에 되살린다

    백합과 식물인 칠보치마의 꽃 [사진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경기도 수원 칠보산에서 1960년대에 처음 발견돼 이름도 발견지역 지명에서 따왔지만 정작 칠보산에서는 사라져 볼 수 없

    중앙일보

    2017.05.16 12:00

  • 복통엔 질경이...바이오산업으로 이어지는 전통 지식

    복통엔 질경이...바이오산업으로 이어지는 전통 지식

    할미꽃 뿌리는 재래식 화장실 파리와 구더기 퇴치에 이용됐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봄이면 피어나는 할미꽃. 조상들은 재래식 화장실에 파리나 구더기가 생기면 할미꽃 뿌리를 찧어

    중앙일보

    2017.04.11 12:16

  • 사라진 한국표범도, 제주 곶자왈도 한 곳에서 체험

    사라진 한국표범도, 제주 곶자왈도 한 곳에서 체험

    인천 서구에 위치한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백운석)은 봄을 맞아 어린이 체험학습실과 생태계 디오라마(Diorama) 등 상설 전시관을 새롭게 단장해 선을 보인다고 3일 밝혔다.

    중앙일보

    2017.04.03 09:34

  • 국내 자생 생물종 숫자 20년 만에 65% 급증…원인은?

    국내 자생 생물종 숫자 20년 만에 65% 급증…원인은?

    4만7003종(種).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이 9일 발표한 국내 자생생물 목록에 등장하는 생물 종수 숫자다. 지난해 말 기준이다.그런데 1996년 당시 환경부가 발표했던 '국내 생물종

    중앙일보

    2017.02.09 12:12

  • 한국표범 게놈지도 나왔다

    한국표범 게놈지도 나왔다

    남한에선 절멸된 것으로 추정되며 러시아 연해주에 약 60마리가 살고 있는 멸종위기Ⅰ급 야생동물인 '한국표범'(아무르표범)의 게놈지도가 완성됐다.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자원관)은 1일

    중앙일보

    2016.11.01 12:01

  • 점박이꽃무지, 질경이, 섬시호를 아시나요

    점박이꽃무지, 질경이, 섬시호를 아시나요

    생물도감엔 사진보다 그림이 많다. 붓이나 펜·연필의 섬세한 터치가 생물의 모습을 더욱 사실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동식물 세밀화엔 예술과 과학이 어우러진다.점박이꽃무지·호랑지빠귀

    중앙일보

    2016.09.21 06:01

  • 우리나라 자생종 수련 '꼬마수련' 찾았다…멸종위기 '각시수련'과 유사

    우리나라 자생종 수련 '꼬마수련' 찾았다…멸종위기 '각시수련'과 유사

    강원도에서 발견된 꼬마수련. [사진 국립생물자원관]국내 담수 습지에서 자라는 수련의 대부분은 미국이 원산지인 '미국수련'이고, 극히 일부만 국내 자생종인 '각시수련'과 '꼬마수련'

    중앙일보

    2016.07.27 12:35

  • [인사] 중앙미디어네트워크 外

    ◆중앙미디어네트워크◆JTBC Plus▶골프채널본부장 겸 사업본부장 박희상▶뉴스취재국 베이스볼팀장 최민규▶뉴스제작국 일간제작팀장 최용범▶뉴스제작국 디지털운영팀장 김걸▶마케팅본부 광고

    중앙일보

    2016.06.01 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