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기후변화, 괭이갈매기 산란시기도 앞당겼다…3월에 첫 번식

    기후변화, 괭이갈매기 산란시기도 앞당겼다…3월에 첫 번식

    홍도에서 새끼를 양육 중인 괭이갈매기. 국립공원공단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홍도 괭이갈매기의 번식 시기도 점차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한려해상

    중앙일보

    2020.05.12 12:00

  • 왜 선거전 쥐약 나눠줬나···박정희 시대 '쥐잡기 운동'의 비밀

    왜 선거전 쥐약 나눠줬나···박정희 시대 '쥐잡기 운동'의 비밀

    지난달 29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에 2020년 경자년 쥐띠 해를 맞아 쥐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포토존이 만들어져 시민과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포토존은 가로 세로 각각

    중앙일보

    2020.01.24 14:00

  • 복잡한 '로봇 카' 운전도 척척···생각보다 똑똑한 동물, 쥐

    복잡한 '로봇 카' 운전도 척척···생각보다 똑똑한 동물, 쥐

    12년 전인 2008년 쥐띠 해를 상징하는 조형물이 부산시 해운대해수욕장에 세워졌다. 무자년-해뜰날` 이라는 이름의 이 조형물은 가로2.m, 세로 4m 크기로 한국미술협회 부산지

    중앙일보

    2019.12.28 11:00

  • 서해 칠발도 바닷새 매년 수백 마리 죽이던 잡초 제거했다

    서해 칠발도 바닷새 매년 수백 마리 죽이던 잡초 제거했다

    전남 신안군 칠발도 전경.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자, 한 해에 바닷새 1만 마리가 넘게 오가는 중요한 번식지다. [사진 국립공원공단] 서해 무인도 칠발도에 들어와 번성하면서

    중앙일보

    2019.09.29 12:00

  • 선인장으로 뒤덮인 홍도…기후변화 탓?

    선인장으로 뒤덮인 홍도…기후변화 탓?

    홍도 괭이갈매기와 새끼. [국립공원공단 제공] 기후변화로 인해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사는 괭이갈매기의 번식 시기가 빨라지고 아열대성 어종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중앙일보

    2019.05.06 12:00

  • 사승봉도, 하백도, 소쿠리섬…여름 휴가, 무인도로 떠나볼까?

    사승봉도, 하백도, 소쿠리섬…여름 휴가, 무인도로 떠나볼까?

    해양수산부는 올해 8월의 무인도서로 인천시 옹진군 자월면에 있는 ‘사승봉도’를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승봉도는 유인도인 승봉도에서 약 2.2㎞ 떨어진 무인도로, 전체 면적이

    중앙일보

    2018.07.31 11:09

  • 한국서 가락지 단 괭이갈매기 일본에서 첫 발견

    한국서 가락지 단 괭이갈매기 일본에서 첫 발견

    한국 텃새인 괭이갈매기 중 연구 목적으로 다리에 가락지를 부착한 개체 한 마리가 번식지에서 550㎞ 떨어진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발견됐다. 국내에서 태어난 괭이갈매가 새끼가 어디로

    중앙일보

    2016.03.20 12:01

  • 희귀종 뿔쇠오리 여수 백도에도 사네

    희귀종 뿔쇠오리 여수 백도에도 사네

    전남 여수 백도에서 발견된 뿔쇠오리의 새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멸종위기종(취약종)으로 분류한 희귀새다.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전남 여수에서 희귀새인 뿔쇠오리의 새 번

    중앙일보

    2012.07.04 00:55

  • [독도 그 섬엔…] 2. 새들의 고향

    [독도 그 섬엔…] 2. 새들의 고향

    ▶ 43년 만에 독도에서 발견된 한국뜸부기. 먼거리 이동으로 탈진한 이 새는 안타깝게도 사체로 발견됐다. 독도는 결코 외롭지 않다. 육지에서 200여km 떨어진 섬이지만 매년 반가

    중앙일보

    2005.06.09 05:23

  • 천연기념물 공개제한 2차 대상지 13곳 확정

    사람의 발길이 잦아 훼손을 면치 못하는 천연기념물에 대해 법적으로 일반인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공개 제한 제도'의 2차 대상지역 열세 군데가 확정됐다. 대상 지역에는 12월부터 향

    중앙일보

    2001.12.10 00:00

  • 천연기념물 삽살개 독도서 추방 위기

    천연기념물(368호)인 삽살개(사진)가 독도 생태계를 훼손시킨다는 이유로 독도에서 추방될 상황에 처했다. 환경부는 최근 독도와 울릉도의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독도 경비대에서 기르고

    중앙일보

    2001.08.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