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송호근 칼럼] 개헌(改憲), 당하다

    [송호근 칼럼] 개헌(改憲), 당하다

    송호근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서울대 석좌교수 개헌을 발의하는 대통령의 표정은 비장했다. 민주공화국 70년, 그 영욕의 세월에 각인된 ‘더 나은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적 염원이 드디

    중앙일보

    2018.04.03 02:42

  • [강찬호의 시시각각] 안철수와 유승민에 거는 기대

    [강찬호의 시시각각] 안철수와 유승민에 거는 기대

    강찬호 논설위원 문재인 정부에 최고의 파트너는 뭐니 뭐니 해도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다. 홍준표가 제1야당 대표로 버티고 있기에 정부가 무슨 실책을 해도 야권은 반사 이익을 누리

    중앙일보

    2018.02.09 01:27

  • 한국 역사영화,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한국 역사영화,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군함도'[매거진M] 올여름 극장가도 한국 역사 블록버스터가 차지했다. ‘군함도’(7월 26일 개봉, 류승완 감독)와 ‘택시운전사’(8월 2일 개봉, 장훈 감독) 얘기다. 이는 비

    중앙일보

    2017.08.23 07:00

  • 욕설·협박 조직적 문자폭탄, 여론 빌미 위임독재 부를 수도

     ━ [특별 대담] 문자폭탄인가 문자행동인가 ‘내 생각과 다른 사람에게 대거 문자를 보내 공격한다’. 이른바 ‘문자폭탄’이다. 옹호하는 쪽에선 ‘문자행동’이라고 주장한다.  최근

    중앙선데이

    2017.06.25 01:52

  • [사설] 대선정국, 박근혜 블랙홀에 빠지지 말아야

    국제적인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어제 “박근혜 대통령의 파면 결정은 한국 신용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스피 지수는 한때 2120을 찍어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고,

    중앙일보

    2017.03.13 21:03

  • [중앙시평] 자칭 ‘보수신당’에 고함

    [중앙시평] 자칭 ‘보수신당’에 고함

    최훈논설실장놀랍다. 한국갤럽의 12월 조사다. 자신이 진보라는 시민이 31%. 보수라는 27%를 앞섰다. ‘매우 보수적’이란 응답은 5%.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과 일치했다. 대역전

    중앙일보

    2016.12.27 20:26

  • [김영희 칼럼] 촛불혁명의 하이재킹을 경계한다

    [김영희 칼럼] 촛불혁명의 하이재킹을 경계한다

    김영희국제문제 대기자튀니지에서 2011년 12월 ‘재스민 혁명’으로 시작된 ‘아랍의 봄’은 이집트·리비아·예멘까지 포함한 4개 아랍 국가들의 독재정권을 무너뜨렸다. 튀니지 대통령

    중앙일보

    2016.12.22 21:14

  • [송호근 칼럼] '환국열차', 출발하다

    [송호근 칼럼] '환국열차', 출발하다

    송호근서울대 교수·사회학시민들은 민주주의의 문법에 무지했던 대통령의 ‘군주의 시간’을 중단시켰다. 청와대, 그 적막한 관저에 대통령을 위리안치했다.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중앙일보

    2016.12.12 20:50

  • 박영수 특검, 2년전 기고문서 밝힌 ‘특검의 조건’ 눈길

    활동을 시작한 박영수 특별검사가 2년 전 한 매체의 기고문에서 특별검사제와 특검 수사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밝힌 글이 화제다. 2014년 3월 24일자 법률신문 칼럼에서 박 특검은

    중앙일보

    2016.12.01 17:16

  • 풍자·해학·배려 넘치는 촛불, 문학보다 아름다웠다

    풍자·해학·배려 넘치는 촛불, 문학보다 아름다웠다

     ━ 소설가 조해진, 서울광장을 가다   11월 12일 오후 4시, 시청으로 갔다. 이미 엄청난 인파가 쏟아져 나와 있었다. 혹시 사고나 불상사가 있을까 하는 것은 기우였다. 사람

    중앙일보

    2016.11.14 01:34

  •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

    시민 100만 명이 밝힌 촛불의 물결이 12일 오후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 세종대로를 가득 메웠다.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에서 상경한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한목소리로 외쳤

    중앙일보

    2016.11.13 04:14

  •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

    시민 100만 명이 밝힌 촛불의 물결이 12일 오후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 세종대로를 가득 메웠다.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에서 상경한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한목소리로 외

    중앙선데이

    2016.11.13 01:36

  • [사설] 대통령·여야, ‘비상시국’일수록 민심 존중해야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국회의 해임건의안 의결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앞서 박 대통령은 24일 장차관 워크숍에서 “나라가 위기에 놓여 있는 비상시국

    중앙일보

    2016.09.25 21:06

  • 클린턴은 선거인단, 트럼프는 지지율 앞서

    미국 대선(11월 8일)을 두 달 앞두고 언론사의 여론 조사마다 전망이 갈리는 접전 양상이 시작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6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서베이몽키와 공동으로 실시한

    중앙일보

    2016.09.08 01:24

  • 클린턴, 대선 두 달 앞두고 트럼프와 초접전 양상

    클린턴, 대선 두 달 앞두고 트럼프와 초접전 양상

    힐러리 클린턴(왼쪽)과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선(11월 8일)을 두 달 앞두고 언론사의 여론 조사마다 전망이 갈리는 접전 양상이 시작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6일(현지시간) 여론

    중앙일보

    2016.09.07 14:38

  • [중앙시평] 헌법 개혁이 왜 절실한 민생개혁인가?

    [중앙시평] 헌법 개혁이 왜 절실한 민생개혁인가?

    박명림연세대 교수·정치학최근 우리는 대한민국의 ‘객관적’ 장기 흐름을 높은 경각심을 갖고 두렵게 바라보게 된다. 첫째 주요 민생·경제·인간 지표들이 ‘통계작성 이래’ ‘역대’ 또는

    중앙일보

    2016.06.24 01:01

  • [통신원 리포트] 뉴요커가 바라본 미국 대선

    [통신원 리포트] 뉴요커가 바라본 미국 대선

    힐러리는 역겨울 정도로 계산적인 ‘준비된 대통령’… 트럼프 인기는 미국이 과거로부터 진보하지 못했다는 진실 보여줘뉴요커는 미국 대선의 숨막히는 각본에 분노한다. 그 분노를 무관심으

    온라인 중앙일보

    2016.04.17 09:31

  • [책 속으로] 박정희·3김시대 관통한 최후의 증언

    [책 속으로] 박정희·3김시대 관통한 최후의 증언

    김종필 증언록김종필 지음중앙일보 김종필증언록팀 엮음와이즈베리1 권 530쪽, 2권 436쪽각 권 2만5000원2015년 3월부터 10개월간 중앙일보에 연재된 『김종필 증언록-소이부

    중앙일보

    2016.03.05 00:26

  • [전영기의 시시각각] 홍창선보다 스케일 작은 이한구

    [전영기의 시시각각] 홍창선보다 스케일 작은 이한구

    전영기 논설위원정치는 희망을 판다. 희망은 결핍 속에서 제작된다. 유권자의 결핍은 시대정신이다. 희망을 얻으려면 시대정신을 읽어야 한다. 제대로 된 희망을 팔아 국민의 마음을 사는

    중앙일보

    2016.02.26 00:21

  • [현장에서] 본회의 열자던 여당은 취소 문자 돌리고 야당은 의장이 중재모임 불러도 안 나와

    [현장에서] 본회의 열자던 여당은 취소 문자 돌리고 야당은 의장이 중재모임 불러도 안 나와

    박유미정치국제부문 기자2015년 12월 22일. 국회는 또 멈췄다. 새누리당이 임시국회를 소집한 뒤 이날 열기로 했던 본회의 일정이 갑자기 취소됐다. 쟁점법안을 논의할 상임위원회는

    중앙일보

    2015.12.23 03:03

  • [똑똑한 금요일] 긴축동맹의 균열

    [똑똑한 금요일] 긴축동맹의 균열

     마크 블라이드“예상치 못한 폴트라인(Fault Line).” 미국 브라운대 마크 블라이드(정치경제학) 교수의 말이다. 그는 긴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치·경제 지형을 분석해온 학자

    중앙일보

    2015.11.13 01:47

  • [송호근 칼럼] 사람 불러야 할 이유

    [송호근 칼럼] 사람 불러야 할 이유

    송호근서울대 교수·사회학“30~40명의 필진을 구성하면 내년 말까지 완료할 수 있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이 비장한 어조로 말했지만, ‘저게 될까?’ 하는 게 솔직한 심정

    중앙일보

    2015.10.27 00:15

  • [접속! 해외 서점가] 일본, 이대로 가면 인구 5000만 … 출산율 더 낮은 우리는 어떨까

    [접속! 해외 서점가] 일본, 이대로 가면 인구 5000만 … 출산율 더 낮은 우리는 어떨까

    인구 증발(蒸發) ‘5000만명 국가’ 일본의 충격 재단법인 일본재건이니셔 티브 지음, 신초샤 지난해 일본 사회에 일대 경종을 던진 책이 『지방소멸』이다. 저자인 마스다 히로야(增

    중앙일보

    2015.08.22 00:27

  • 마터호른 비극과 유럽의 위기

    마터호른 비극과 유럽의 위기

    [뉴스위크] 유럽의 단합을 상징하는 쾌거가 돼야 마땅했다. 정확히 150년 전 7월 영국인 모험가 4명은 유럽대륙의 가이드 3명(프랑스인 1명, 스위스인 2명)과 함께 스위스 알프

    온라인 중앙일보

    2015.08.12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