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4)재임용 제 시행을 계기로 본 그 실상|정년퇴직

    매년 2월말이나 8월말이 되면 각 대학에서는 평균 2∼3명의 원로교수를 위한 조촐한 은퇴기념식이 열린다. 지난 2월말에도 서울대의 10명을 비롯, 사립대학에서는 1,2명의 원로교수

    중앙일보

    1976.06.08 00:00

  • 국·공립대 재임용제외 교수 212명|문교부통보 사립대합치면 3백명 넘어|교수·부교수 임기 6년|국·공립대 조교수 3년·전강은 2년으로

    전국98개 국·공·사립대학 현직교원의 재임용발령이 법정시한인 28일자로 단행됐다. 31개국·공립대학(종합대6·단과대9·교대16개교)은 이날짜로 문교부가 재임대상교원을 일괄적으로 임

    중앙일보

    1976.02.28 00:00

  • 민속자료 5천 점 진열계획-11일 개관한 국립민속박물관

    소멸돼 가는 고유의 민속문화를 한 자리에 집적하려는 한국민속박물관이 오랫동안의 진통을 겪고 11일 개관했다. 경복궁 뒤뜰의 전 현대미술관 건물을 증축 개수, 민속문화의 종합진열장으

    중앙일보

    1975.04.11 00:00

  • 석방 예상자

    이번 조치로 석방이 확실한 자는 대부분의 학생과 지학순 주교, 연세대의 김찬국·김동길 교수, 강신옥 변호사, 유근일(중앙일보 논설위원), 방인철씨(중앙일보기자), 김지하씨(시인),

    중앙일보

    1975.02.15 00:00

  • 능력별 졸업제 실시대상학교 연·고대 등 8개대 지정

    문교부는 15일 금년부터 대학생의 조기졸업이 가능한 능력별 졸업제도의 실시대상 학교를 연세대·고려대 등 8개 대학으로 지정, 승인했다. 이는 이 제도를 뒷받침하는 교육법시행령개정안

    중앙일보

    1975.01.15 00:00

  • 대학 졸업식 20일 전후에

    전국 각 대학교가 대부분 오는 20일을 전후해 졸업식을 갖고 3만8천4백여 명의 새 학사를 배출한다. ▲7일=숭전대(하오 2시) ▲18일=연세대(상오 10시)·중앙대(상오 10시)

    중앙일보

    1974.02.05 00:00

  • 교수 서울-지방 교환근무

    문교부가 지방대학 육성과 대학의 질적향상을 위해 마련한 교수교환계획에따라 전국 각대학에서 교환을 희망한 교수는 29일현재 2백7명에 이르고있다. 문교부는 오는 2학기부터실시할 교수

    중앙일보

    1973.05.01 00:00

  • 전국 18개 대학에서 탄생한 새 박사 2백 69명

    금년에 전국 18개 대학에서 2백 69명의 박사가 탄생했다. 지금까지 국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은 3천 9백 66명이며, 명예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은 금년도의 명을 포함,

    중앙일보

    1973.02.27 00:00

  • 오늘 서울대졸업식

    서울대학교 제26회 졸업식이 26일 상오11시 박정희 대통령내외와 3부 요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동 교 문리대운동강에서 거행됐다. 이날 새벽부터 눈발이 내렸으나 졸업식이 열리기 전

    중앙일보

    1972.02.26 00:00

  • 대학가 졸업「시즌」|오늘 연세대

    21일 연세대의 졸업식을 시작으로 올해 대학가 졸업「시즌」의 막이 올랐다. 연세대학교 71학년도 졸업식은 21일 상오11시 동 대학 노천극장에서 많은 내의인사와 학부형들이 참석한

    중앙일보

    1972.02.21 00:00

  • 『훈몽자회』최고본영인 출판

    『훈몽자회』최고판본의 영인본이 나왔다. 단국대부설 동양학연구소(소장 이희승)의 동양학관계 사료영인사업 제1집으로 나온 『훈몽자회』는 이조 중종 22년(1527년)에 당대 한학의대가

    중앙일보

    1971.09.02 00:00

  • 대학가 여름방학에

    「데모」로 술렁대던 대학가가 5일 고려대·중앙대·건국대 등을 「스타트 」로 여름방학에 들어갔다. 각 대학은 8월31일까지 약 50일 동안 방학에 들어가며 9월1일 2학기 개학에 앞

    중앙일보

    1971.07.05 00:00

  • (150)제11화 경성제국대학

    <일본인 교수들> 경성제대를 세울 때 일본정부는 내용충실을 기한다는 발표와 함께 한국인을 차별대우 하지 않는다는 것을 내세우기 위해서인지 일본국내에서도 유명한 교수를 전임교수로 초

    중앙일보

    1971.05.10 00:00

  • 후기대 원서 마감

    9일 시작되는 71학년도 후기 대학 입시를 앞두고 성균관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학이 7일 원서 접수를 마감했으며 건국대·단국대·명지대·숭전대·동덕여대 등은 8일 마감한다. 성대는

    중앙일보

    1971.02.08 00:00

  • 시정 평가단·자문 위원 백49명 위촉

    양탁식 서울 시장은 27일 시행정의 평가와 자문을 맡을 「시정 평가단」과 「수도 행정 자문 위원회」를 구성, 평가 단원 30명과 자문 위원 1백19명을 위촉했다. 시정 평가단은 대

    중앙일보

    1970.05.27 00:00

  • 대학정원 천4백명 증원

    문교부는 70학년도 대학신입생 정원을 69학년도 보다 1천4백45명이 는 4만3백명으로 하는 내용의 대학 학생정원령을 개정, 17일 국무의의를 통과시켰다. 문교부는 이번 조정에서

    중앙일보

    1969.12.17 00:00

  • 32개대학휴교

    3선개헌반대및 국회에서의 개헌안 변칙통과를 규탄하는학생 「데모」는 중앙대, 한양대, 수도공대가 16일부터 무기휴강에 들어갔다. 이로서 서울시내13개종합대학교 가운데 우석대, 건국대

    중앙일보

    1969.09.16 00:00

  • 6개 단과대학 신설

    문교부는 24일 6개 대학을 신설하고 2개 초급대학을 폐지하는 등 대학정원령을 국무회의에서 개정, 68학년도 대학신입생정원을 4천65명 늘렸다. 따라서 68학년도 신입생정원은 모두

    중앙일보

    1967.11.25 00:00

  • 신·증설·증원학과

    괄호 안의 숫자는 67년도 과별청원 증은 증설, 신은 신설, 폐는 폐지 ◇서울대 ▲공대=조선20(20)항공20(증)전자화(20)금속화(30)원자력30(20)응용수학20(10)화학응

    중앙일보

    1967.11.25 00:00

  • 68년도 대학입시 요강발표

    12일 상오 전국 20개 종합대학의 학교별 전·후기가 문교부에서 숭인, 결정되는 한편 서울대을 비롯, 서울시내 주요 16개 종합대학의 입학시험전형요강이 확정 발표되었다. 전기대학은

    중앙일보

    1967.09.12 00:00

  • 고대 등 15개 대학 졸업식

    고려대를 비롯 중앙대 한양대 숙명여대 단국대 국민대 「가톨릭」의대등 전국15개 대학이 25일 상오 각각 졸업식을 거행했다. 고대는 이날 졸업식에서 학사9백15명 석사52명 박사3명

    중앙일보

    1967.02.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