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거친듯 자유로운, 고려인들의 호방함 만끽

    거친듯 자유로운, 고려인들의 호방함 만끽

    계단 난간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철화모란당초문난주’(12세기) ‘청자철채상감연당초문장고’(12~13세기). 고려시대 장고는 철화로 장식하는 전통이 있었다. 흔히 고려청

    중앙선데이

    2017.04.02 00:02

  • 투박해서 더 활달한 철화청자, 그 친근한 매력

    투박해서 더 활달한 철화청자, 그 친근한 매력

     ━ 호림박물관 ‘철, 검은 꽃으로 피어나다’  붓에 철분이 섞인 안료를 묻혀 그릇 표면에 그림을 쓱쓱, 힘차게 그렸다. 연꽃이든, 버드나무든, 물고기든 거침없이 붓을 놀렸다. 그

    중앙일보

    2017.03.22 01:12

  • 거북선 병풍, 글자 새긴 도자기…선조들의 생활 미술

    거북선 병풍, 글자 새긴 도자기…선조들의 생활 미술

     ━ 호림박물관 ‘아트 인 라이프’ 특별전 11일 개막한 ‘ 트 인 라이프’ 특별전. 이순신 장군이 지휘한 거북선의 위용이 드러난 ‘통제영 수군조련도 10폭 병풍’. [사진 호림박

    중앙일보

    2016.11.23 01:00

  • 민영익·황종하·김용수…근대회화 거장 작품 첫 공개

    민영익·황종하·김용수…근대회화 거장 작품 첫 공개

    1907년 7월 16일자 황성신문 3면 하단에 학원모집 기사가 실렸다. ‘교육서화관(敎育書황종하 작 ‘소무목양도(蘇武牧羊圖)’. 세 작품 모두 책에 게재된 외에 일반 공개는 처음이

    중앙일보

    2016.06.16 00:50

  • 명품 유물의 진수

    명품 유물의 진수

    백자주자, 조선 15세기, 국보 281호 금동탄생불, 삼국 6세기, 보물 808호 기마인물형토기, 삼국시대 호림박물관(관장 오윤선)은 소장품이 1만5000점이 넘는, 우리나라의

    중앙선데이

    2015.11.15 00:30

  • 중앙일보 창간 50년 행사 참석한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정계 원로▶이명박 전 대통령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고흥길 전 특임장관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백용호 전 청와대 정책실장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

    중앙일보

    2015.09.23 00:01

  • 중앙일보 창간 50년 행사 참석한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정계 원로▶이명박 전 대통령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고흥길 전 특임장관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백용호 전 청와대 정책실장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

    중앙일보

    2015.09.22 21:53

  • 유쾌하게 두드리고 정교하게 붙이고

    유쾌하게 두드리고 정교하게 붙이고

    조선 15~16세기에 만들어진 백자 편병. 앞에서, 옆에서 볼 때 각각 느낌이 다르다. 지금 서울 신사동 호림박물관(관장 오윤선) 신사분관에서는 보기 드문 전시가 열리고 있다.

    중앙선데이

    2015.09.06 00:03

  • 나전, 조선 장인정신의 극치

    나전, 조선 장인정신의 극치

    나전화조어해문문갑(부분) 나전화조어해문문갑, 조선 19세기, 88.6×31.0×42.1㎝ 전형적인 두껍답이문 문갑과 달리 위와 아래에 서랍이 있고, 중앙에는 개방형 공간이 마련돼

    중앙선데이

    2015.04.18 13:19

  • 푸근한 달항아리도 좋지만 획 더하니 용·봉황이 꿈틀

    푸근한 달항아리도 좋지만 획 더하니 용·봉황이 꿈틀

    위부터 국보 222호 ‘백자청화매죽문호’, 왕실이 아닌 황실을 상징하는 ‘백자청화운룡문대호’, ‘백자철화운룡문호’, ‘백자철화국화문호’. [사진 호림박물관]조선의 도공(陶工)은 순

    중앙일보

    2014.07.01 00:45

  • 늠름하고 온화한 조선 백자, 어찌하여 이렇게 모였을꼬

    늠름하고 온화한 조선 백자, 어찌하여 이렇게 모였을꼬

    미술사학자 최순우가 “무심한 아름다움”이라고 표현한 조선의 백자 달항아리들. [사진 호림박물관] 조선의 달항아리는 한국인의 소박한 미(美)의식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술품으로 꼽힌다

    중앙일보

    2014.03.13 01:01

  • 허름한 차림으로 보자기 찾아 쏘다니니 … 내 별명이 넝마주이

    허름한 차림으로 보자기 찾아 쏘다니니 … 내 별명이 넝마주이

    “자수박물관장으로서의 삶을 학점으로 매기자면 수집은 B, 조사는 B, 다만 전시는 국내외에서 100번이 넘게 했기에 감히 A학점을 주고 싶습니다. 해외 전시 때마다 벅찬 감동이 밀

    온라인 중앙일보

    2013.12.01 04:05

  • 허름한 차림으로 보자기 찾아 쏘다니니 … 내 별명이 넝마주이

    허름한 차림으로 보자기 찾아 쏘다니니 … 내 별명이 넝마주이

    “자수박물관장으로서의 삶을 학점으로 매기자면 수집은 B, 조사는 B, 다만 전시는 국내외에서 100번이 넘게 했기에 감히 A학점을 주고 싶습니다. 해외 전시 때마다 벅찬 감동이

    중앙선데이

    2013.11.30 16:13

  • 그 많던 소반은 다 어디로 갔을까

    그 많던 소반은 다 어디로 갔을까

    19세기 통영반. 높이 29.8㎝. 나전칠기가 발달한 통영인 만큼 소반의 생명이라 할 칠 마감이 수준급이다. 천판과 이를 받치는 운각부터 다리와 족대까지 전체적으로 조선 목가구의

    중앙일보

    2013.11.11 00:23

  • [위아자 나눔장터] 『아리랑』 집필 때 쓴 조정래 안경…혜민 스님 참선 시계

    [위아자 나눔장터] 『아리랑』 집필 때 쓴 조정래 안경…혜민 스님 참선 시계

    오는 20일 서울·부산·대전·전주 등 네 곳에서 동시에 열리는 위아자 나눔장터에서 판매될 명사와 스타들의 애장품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 멘토들로부터 정치인·법조인·문화

    중앙일보

    2013.10.16 00:40

  • 모란 = 부귀, 물고기 = 다산, 쏘가리 = 출세

    모란 = 부귀, 물고기 = 다산, 쏘가리 = 출세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주로 즐기던 ‘문인화(文人畵)’가 클래식 음악이라면, ‘민화(民畵)’는 저잣거리 상인들도 흥얼거리는 유행가였다.  19세기 들어 신분제 질서가 무너지기 시작하면

    중앙일보

    2013.05.14 00:46

  • 시아버지가 만들고 며느리가 지키는 문화재의 숲을 거닐다

    시아버지가 만들고 며느리가 지키는 문화재의 숲을 거닐다

    최순우·황수영·진홍섭 ‘개성 3인방’과 인연이사장 시아버지의 팔짱을 끼고 며느리 관장이 전시장으로 천천히 걸음을 옮겼다. ‘호림이 사랑하는 보물’ 코너다. 1971년 5월 26일

    중앙선데이

    2012.10.28 01:57

  • 진열장 유리 치우니, 더 푸근한 우리 옛 토기

    진열장 유리 치우니, 더 푸근한 우리 옛 토기

    호림박물관은 개관 30주년 특별전 ‘토기’전을 열며 공간 연출에도 신경 썼다. 유물을 유리 진열장에 박제처럼 넣어두는 데 그치지 않고 흙 위에 과감하게 늘어놓았다. 토기의 복권(復

    중앙일보

    2012.03.29 00:24

  • 초조대장경, 그 1000년의 가르침

    초조대장경, 그 1000년의 가르침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주본(周本) 권2(국보266호). 고려 12세기, 호림박물관 소장. 1000년 전 인쇄된 초조대장경을 대거 보여주는 전시가 열린다. 성보문화재단

    중앙일보

    2011.05.18 00:14

  • 검은 빛 우리 자기, 그 정취 청자 백자 못잖더라

    검은 빛 우리 자기, 그 정취 청자 백자 못잖더라

    흑유자편병(黑釉磁扁甁), 조선 15세기, 높이 23.6㎝, 지름 4.2㎝, 밑지름 8.3㎝. [호림박물관 제공] 성보문화재단 호림박물관(관장 오윤선)서울 강남 신사분관에서 두 개

    중앙일보

    2010.12.08 00:13

  • 조선 분청사기의 새로운 발견

    조선 분청사기의 새로운 발견

    분청사기상감수파문보(粉靑沙器象嵌水波文), 조선 15세기, 총 높이 15.5㎝ 조선은 유교국가였다. 예(禮)로써 나라를 다스렸다. 특히 국가제사인 길례(吉禮)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

    중앙선데이

    2010.06.19 16:09

  • 조선 국가 제사에 쓴 명품 분청사기 제기

    조선 국가 제사에 쓴 명품 분청사기 제기

    분청사기상감귀갑문작(粉靑沙器象嵌龜甲文爵), 조선 15세기, 높이 15.2㎝. 괴수의 얼굴이 새겨진 제사용 술잔. [호림박물관 제공] 조선시대에 국가 제사인 길례(吉禮)는 왕실의 권

    중앙일보

    2010.06.01 01:28

  • 아름지기, 이상 생가 터 복원사업 시동

    아름지기, 이상 생가 터 복원사업 시동

    아름지기와 헤렌은 지난달 29일 연 바자에서 문화 기금 2억2000만원을 마련했다. 왼쪽부터 신연균 아름지기 이사장, 김세진 헤렌 편집장, 오윤선 호림박물관 관장, 이윤경 아름지기

    중앙일보

    2010.05.05 00:16

  • 처음 만나는 염주를 든 관음보살

    처음 만나는 염주를 든 관음보살

    ‘수월관음도’(고려 14세기), 103.5*53.0㎝ 고려 불화는 주(朱)·녹청(綠靑)·군청(群靑) 그리고 금니(金泥)로 대표되는 화려한 채색으로 불교 회화를 집약한다고 할 수

    중앙선데이

    2010.03.20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