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 포럼] 원자력 때리기 그만 하자

    20년 전 인구 7만 명이었던 어촌마을이 지금은 700만 명이 북적대는 첨단기술 도시로 탈바꿈했다. 파리나 로스앤젤레스보다 더 커진 중국 선전(深?)의 모습이다. 세계 수출 3위국

    중앙일보

    2005.04.20 20:31

  •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을 위한 공학인들의 정책 제언

    1. 배 경 ○ 국가 경쟁력과 공학기술 -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시장개방추세는 세계를 하나의 생산체제와 소비시장으로 만들며 무한경쟁 시대를 촉진시키고 기술력은 한 나라의 경쟁력을

    중앙일보

    2004.02.17 16:21

  • 이공계 박사 2010년까지 24% 남아돈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배출되는 이공계 학위 취득자 중 박사 9천7백여명, 석사 10만3천여명이 연구개발 분야로 진출하지 못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고상원 박

    중앙일보

    2000.12.27 00:00

  • 이공계 대학교육혁신에 5년간 3~4兆여원필요

    제대로 된 이공계 대학교육을 위해서는 앞으로 5년간 매년 5천억~8천5백억원의 재원이 추가로 확보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를 위해 정부지원과 대학및 재단의 자구노력 외에 기업의

    중앙일보

    1995.06.17 00:00

  • 이공계 대학교육개혁 심포지엄 주제발표-全經聯.本社주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개혁 과제중 이공계 대학교육 혁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심포지엄이 中央日報社와 국가경쟁력강화민간위원회(대표의장 崔鍾賢 전경련회장)공동주최로 17일 전경련회

    중앙일보

    1995.03.17 00:00

  • (3)올 대졸자 10만명이 "취업 재수생" 될 판

    취업철을 맞은 대학가의 표정은 어느 때보다 어둡다. 내년 2월의 대학졸업예정자는 14만3천명. 1년전에 비해 3만명이 늘었고 82년(6만2천7백명)에 비하면 2배이상 불어났다. 이

    중앙일보

    1985.10.31 00:00

  • 기술계 인력난 갈수록 심화

    문교부의 84학년도 대학정원조정결과는 국가의 고급기술인력 수요급증에 따른 인력수급전망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는것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문교부는 이번 조정에서 기초과학분야에

    중앙일보

    1983.09.08 00:00

  • “미래의 과학-어떤 분야가 유망할까”|이·공계 지망생들을 위한 가이드

    학년이 바뀌는 시기를 앞두고 이공계를 지망하거나 재학중인 학생들에게는 진로를 결정해야하는 어려운 문제에 부닥친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1학년을 계열별로 모집했기 때문에 학생들은 2학

    중앙일보

    1981.12.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