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주-내륙 잇는 3번째 해저광케이블 매설

    제주와 내륙지방을 잇는 세번째 해저광케이블이 매설된다. 한국통신은 14일 제주도남제주군 성산포와 경남 남해시를 연결하는 2백36㎞구간에 대용량 해저광케이블을 오는 12월 착공, 내

    중앙일보

    1999.04.15 00:00

  • 육지 전력 수송용 해저광케이블 6월 개통

    육지의 전력을 바다 밑으로 보내는 해남~제주간 해저광케이블이 오는 6월께 개통될 예정이다. 17일 한국전력 제주지사는 전남 해남과 제주를 연결하는 총연장 1백1㎞의 해저광케이블이

    중앙일보

    1997.02.18 00:00

  • 제주~고흥 光케이블 개통

    한국통신은 제주지역과 육지간 PC통신.케이블TV.화상 전화및회의.초고속 인터넷및 비디오텍스등 최첨단 통신을 가능케 하는 제2의 제주~고흥 구간 광케이블을 20일 개통한다.총2백26

    중앙일보

    1996.12.20 00:00

  • 114안내 하반기부터 유료화-한국통신 업무계획

    한국통신은 올 하반기중 114안내를 유료화하고,공중전화요금을현재의 40원에서 50원 수준으로 인상하는 것을 추진키로 했다.또 정부기관이나 민간기업들이 유료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베

    중앙일보

    1995.01.11 00:00

  • 三陟~鬱陵 해저케이블 국내선 두번째로 개통

    제주~고흥에 이어 국내에서는 두번째로 울릉도와 삼척군 湖山을잇는 길이 1백58㎞의 해저광케이블이 3일 개통됨으로써 1만3천여 울릉도민들이 육지와 동일한 품질의 고속통신서비스를 받게

    중앙일보

    1993.12.03 00:00

  • 울릉도 전화 소통 좋아진다

    강원도 삼척과 울릉도를 잇는 총 1백58km의 해저 광케이블이 93년 12월 개통 예정으로 이 달 말 착공된다. 이로써 울릉도와 육지간 전화 소통과 통화 품질이 한결 좋아지게 됐다

    중앙일보

    1992.03.30 00:00

  • 국내도 민영화로 “제2도약”(공룡­세계통신시장:하)

    ◎독점 빗장풀어 국제화추세에 대처/자체기술 수준낮아 대외종속 우려 세계 통신시장의 변화와 함께 국내 통신업계도 서서히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통신시장 개방에 대비

    중앙일보

    1991.11.04 00:00

  • 해저케이블기술 낙후 심각

    국산전기 통신기자재의 제1시장 점유율이 15%에 이만치 국내의 전기통신산업은 선진국 수준에 진입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저케이블에 관한 기술은 극도로 낙후돼 유지·보

    중앙일보

    1991.08.14 00:00

  • 바다밑에 「통신고속도로」/제주∼고흥 광케이블개통 효과

    ◎만2천명이 동시 통화/위성보다 빠르고 음질 깨끗 제주∼고흥간 해저광케이블망 개통은 「꿈의 통신」이라고까지 불리는 광통신이 81년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9년만에 한국을 국제해저통신

    중앙일보

    1990.04.21 00:00

  • 제주∼고흥 해저광케이블망 개통/국제통신망 연결…미ㆍ일등과 교신가능

    【성산=정순균기자】 「꿈의 통신망」으로 각광받고 있는 해저광케이블 통신시대가 열렸다. 한국전기통신공사(사장 이해욱)는 21일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에서 제주∼육지간 해저광케이블 건

    중앙일보

    1990.04.21 00:00

  • 체신부의 올해 업무 계획 (요지)

    체신부의 87년도 주요 업무 계획은 다음과 같다. ◇전화 채권 폐지=도서 지방은 올해 하반기에, 읍·면 지역은 내년 초까지 전화 채권을 폐지한다. ◇정보 통신망 구축=전자 통신 연

    중앙일보

    1987.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