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도 붓다도 ‘결핍’ 있었다…인류 채워준 깨달음의 길

  • 카드 발행 일시2024.02.14

 “삶이 고통의 바다”라고 여기는 우리에게 “삶은 자유의 바다”라고 역설하는 붓다의 생애가 궁금하지 않으세요? 백성호 종교전문기자가 ‘붓다뎐’을 연재합니다. ‘종교’가 아니라 ‘인간’을 다룹니다. 그래서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종교와 상관없이 말입니다.
사람들은 지지고 볶는 일상의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며 살아갑니다. 그런 우리에게 붓다는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가 돼라”고 말합니다.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이 돼라”고 합니다. 어떡하면 사자가 될 수 있을까. ‘붓다뎐’은 그 길을 담고자 합니다.
20년 가까이 종교 분야를 파고든 백성호 종교전문기자는 작가이기도 합니다.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예수를 만나다』『결국, 잘 흘러갈 겁니다』등 10권의 저서가 있습니다. 붓다는 왜 마음의 혁명가일까, 그 이유를 만나보시죠.

⑤공자ㆍ붓다ㆍ예수ㆍ무함마드도…유년기 존재의 결핍

#왕은 아내를 잃고, 왕자는 엄마를 잃다

꼭 1주일 만이었다. 왕자를 낳고서 마야 부인은 세상을 떠났다. 왕은 아내를 잃었고, 왕자는 엄마를 잃었다. 2500년 전이었으니 요즘처럼 사진도 없었다. 싯다르타 왕자는 엄마의 얼굴을 단 한 번도 보지 못했다. 사진을 통해서도 말이다. 그러니 왕자가 갖는 그리움이 얼마나 컸을까. ‘엄마’라는 두 글자가 싯다르타에게는 커다란 삶의 결핍으로 다가오지 않았을까.

인도의 국립 델리박물관에 있는 불상.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미술이다. 백성호 기자

인도의 국립 델리박물관에 있는 불상.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미술이다. 백성호 기자

불교에는 “번뇌가 곧 보리”라는 말이 있다. 삶의 고뇌와 깨달음의 지혜가 둘이 아니라는 뜻이다. 번뇌와 지혜, 서로 다른 그 둘을 하나로 뚫을 때 깨달음이 온다. 그런데 우리의 생각은 다르다. 번뇌는 피하고 싶고, 깨달음만 얻고 싶다. 이런 사람은 깨달음을 얻기가 어렵다. 왜 그럴까. 세상을 이미 번뇌와 깨달음, 두 쪽으로 갈라놓고 한쪽만 편식하기 때문이다. 어느 한쪽만 통하는 건 진리가 아니다. 번뇌에도 통하고, 깨달음에도 통해야 진리가 된다. 진리는 모든 걸 관통하기 때문이다.

나자마자 엄마를 잃은 싯다르타의 결핍감은 커다란 번뇌였을 터다. 자신의 출생과 동시에 세상의 절반이 꺼져버린 느낌이 아니었을까. 그런데 그 번뇌가 깨달음의 언덕을 넘어서게 하는 가장 큰 엔진이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팔리어 경전에 기록된 붓다의 유년기는 눈길을 끈다. 여느 아이들과 달리 싯다르타는 어려서부터 생각이 깊고, 사유하는 성향이 강했다. 나는 그러한 성향의 뿌리에 ‘엄마의 결핍’이 적잖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공자도, 예수도, 무함마드도…존재의 결핍  

‘축의 시대’에는 인류사의 스승이 여럿 출현했다. 그중 한 명인 공자도 그랬다. 공자의 부친인 공흘과 어머니인 안징재의 나이 차는 무려 54세였다. 공흘이 70세 때 16세의 안징재를 맞아들였다. 공흘에게는 이미 본처와 아홉 명의 딸이 있었다. 전쟁이 난무하고, 사람의 목숨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춘추전국시대였다. 대(代)가 끊길까 봐 걱정하던 공흘은 칠순의 나이에 공자를 낳았다.

3년 후에 공흘은 세상을 떠났다. 싯다르타는 출생 1주일 만에 엄마를 잃었다. 공자는 3세 때 아버지를 잃었다. 24세 때는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났다. 공자의 유년기와 청년기에도 채울 수 없는 결핍이 있었다. 더구나 동아시아 전통에서는 아버지를 하늘, 어머니를 땅에 비유한다. 공자는 어린 나이에 하늘을, 젊은 나이에 땅을 상실한 셈이었다. 그러한 결핍의 바닥에서 공자는 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