㉖ 바리사이들도 감탄한 예수의 현답
올리브 산 위로 올라갔다. 예루살렘 성이 한눈에 들어왔다. 둥근 황금빛 지붕. 지금은 이슬람 성전이다. 모스크 특유의 문양으로 치장된, 이슬람의 3대 성지다.
예수 당시에는 그곳에 유대교 성전이 있었다. 이집트를 탈출한 유대인들이 광야를 떠돌 때는 천막으로 성막을 치고 그 안에 십계명을 새긴 돌판을 모셨다. 그것이 신을 만나는 성전이었다. 유대인은 가나안 땅에 나라를 세운 뒤에야 성을 쌓고 거대한 성전을 건축했다. 예수 당시에는 예루살렘 성의 한가운데 유대 성전이 있었다. 종교 국가였던 유대 사회의 심장에 해당하는 장소였다.

예수 당시 유대의 예루살렘 성전이 있던 자리에 지금은 이슬람 모스크가 서 있다. 이슬람교를 창시한 무함마드가 이곳에서 승천했다고 해, 이슬람교 3대 성지 중 하나로 꼽힌다. 백성호 기자
예수는 그곳으로 향했다. 유대 광야와 사마리아, 갈릴래아 일대를 돌면서 하늘의 뜻을 전하던 예수는 이제 예루살렘으로 들어가려는 참이었다.
예수와 제자들 일행은 예루살렘 동편의 올리브 산 근처까지 이르렀다. 예수는 제자들이 끌고 온 나귀의 등에 올라탔다. 나귀는 어렸다. 성경에는 ‘아직 아무도 탄 적이 없는 어린 나귀’라고 적혀 있다. 마태오 복음서의 예루살렘 입성 대목에는 “그분은 겸손하시어 암나귀를 타시고,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 어린 나귀를 타고 오신다”고 기록되어 있다.
어린 나귀는 ‘겸손’을 상징한다. 예수는 건장한 큰 말을 타고서 위엄을 내세우지 않았다. 오히려 보잘것없는 나귀를 타고 초라한 모습으로 예루살렘에 들어갔다. 그것이 예수의 마음이었다. 유대 사회의 심장으로 자처해 들어가는 예수의 심정은 ‘낮춤’이었다.
그 낮춤은 단순한 겸손이 아니다. 신의 속성을 향해 무한히 낮아지는 낮춤이다. 그것이 나중에 겟세마니의 기도로 이어지고, 다시 십자가의 길로 이어졌다. 예수는 그렇게 도성으로 들어섰다.
물론 당시 유대인들은 말을 키울 수가 없었다.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던 유대 땅에서는 군사용으로도 쓰일 수 있는 말 사육이 금지돼 있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주로 양과 나귀만 키울 수 있었다.
성경에 따르면 숱한 사람들이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을 환영했다고 한다. 제자들이 자신의 겉옷을 바닥에 깔자 그 위로 예수가 탄 나귀가 지나갔다. 그러자 수많은 군중이 자신의 겉옷을 길에 깔았다. 또 어떤 이들은 나뭇가지를 꺾어 길에 깔기도 했다. 아시아의 남방 국가에서 귀한 손님을 맞을 때 꽃잎을 흩뿌리는 풍습과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