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 바루기’
검색결과

우리 말 바루기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 [우리말 바루기] ‘가르치다’ ‘가리키다’ 구분법

    많이 쓰면서도 늘 헷갈리는 말이 ‘가르치다/가리키다’이다. 헷갈리는 우리말 순위에서 빠지지 않는 사안이다. 각각의 의미를 모르지 않으면서도 막상 사용할 때는 혼동하기 일쑤다.  

    중앙일보

    2024.04.25 00:11

  • [우리말 바루기] 가지다(갖다)를 줄여 쓰자

    번역투 표현으로 볼 수 있는 것 중에 ‘~를 가지다(갖다)’ 형태가 있다. 우리말에서 잘 어울리는 다른 서술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지다’ ‘갖다’를 남용하는 것은 영어의 ‘h

    중앙일보

    2024.04.15 00:11

  • [우리말 바루기] 헷갈리는 사자성어

    다음 사자성어 중 표기가 바른 것은?   ㉠ 야밤도주 ㉡ 포복졸도 ㉢ 산수갑산 ㉣ 성대모사   사업하다 망해 몰래 도망치거나 남녀가 사랑 때문에 부모 몰래 도망치는 등 이런저런

    중앙일보

    2024.04.01 00:11

  • [우리말 바루기] ‘윤중제’는 제방을 뜻하는 일본말

    여의도는 1968년까지만 해도 섬이라기보다는 홍수가 나면 물에 잠기는 큰 모래밭에 가까웠다. 67년 박정희 대통령의 의지와 김현옥 서울시장의 추진력으로 여의도 개발 계획이 세워지

    중앙일보

    2024.03.28 00:11

  • [우리말 바루기] ‘~화하다’ ‘~화되다’ 그것이 문제로다

    ‘~화하다’와 ‘~화되다’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까? “채산성이 악화했다” “채산성이 악화됐다” “성형수술이 보편화했다” “성형수술이 보편화됐다”처럼 두 가지가 모두 사용되고

    중앙일보

    2024.03.11 00:11

  • [우리말 바루기] ‘그치?’ ‘그쵸?’라고 묻지 맙시다

    상대방의 공감을 유도하며 되묻는 언어 습관을 지닌 사람이 많다. 일상적인 대화에서 말끝마다 “그지?” “그죠?” 혹은 “그치?” “그쵸?”를 덧붙이곤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중앙일보

    2024.03.07 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