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경음

검색결과

순경음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 [자유한인보 4,5권 발견] ⑤ 에필로그-인문과 여유

    [자유한인보 4,5권 발견] ⑤ 에필로그-인문과 여유

    수용소 책임자 하월 대위가 포로 대표자들을 불러 귀국일(12월 26일)을 발표하고 `한국과 그 민족에게 혜택을 주신 하나님께` 추수감사절 예배를 올린다는 내용, 귀국해서 지도자가

    중앙일보

    2014.08.22 09:13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훈민정음 해례본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훈민정음 해례본

    이덕일역사평론가『훈민정음(訓民正音)』 서문은 “비록 바람소리나 학의 울음소리, 닭 울음소리, 개 짖는 소리까지 모두 쓸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귀에 들리는 모든 소리는 다 적을

    중앙일보

    2012.03.21 00:0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세종의 꾸짖음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세종의 꾸짖음

    “광화문에 나의 동상을 세워놓고 10월 9일을 한글날로 기념한다는 사실을 내 알고 있다. 그러나 너희들이 지금 쓰고 있는 말과 글을 볼 때마다 화가 치민다. 심지어 한강 남쪽에선

    중앙일보

    2011.10.10 00:26

  • 언어 혁명→생활 혁명, 쉬운 법률 용어로 백성을 구하다

    언어 혁명→생활 혁명, 쉬운 법률 용어로 백성을 구하다

    성공한 국왕들 세종⑨ 훈민정음 창제정신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든 표면적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하나는 왕조 개창의 정당성을 온 천하에 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훈민

    중앙선데이

    2010.05.23 03:32

  • “한글이 사라질 뻔한 말도 구해, 전설이 이뤄졌어요”

    “한글이 사라질 뻔한 말도 구해, 전설이 이뤄졌어요”

    “인다우뻬엘루이소오(사랑합니다).”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州) 부퉁섬 바우바우시에 모여 사는 찌아찌아족은 사랑을 고백할 때 이렇게 말한다. 하지만 연애편지는 쓸 수가 없다. 글자가

    중앙선데이

    2009.08.09 02:05

  • [시론]어문정책 재고하자

    일본사람들은 우리나라의 성씨인 '정' 과 '전' 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발음을 제대로 못할 뿐 아니라 알아들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네들의 문자로는 이를 달리

    중앙일보

    1999.02.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