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반도체 초미세 가공기술 개발

    현대전자는 반도체 회로선폭 0.12미크론(1미크론은 1백만분의 1미터)의 초미세가공기술을 적용한 512메가 DDR(더블 데이타 레이트) SD램의 상용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중앙일보

    2001.01.10 18:38

  • 현대전자, 반도체 초미세 가공기술 개발

    현대전자는 반도체 회로선폭 0.12미크론(1미크론은 1백만분의 1미터)의 초미세가공기술을 적용한 512메가 DDR(더블 데이타 레이트) SD램의 상용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중앙일보

    2001.01.10 18:10

  • 현대전자, 초고속 512메가 DDR SD램 개발

    현대전자는 처리속도 333㎒의 초고속 512메가 DDR(Double Data Rate) SD램의 상용제품 개발에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제품은 0.12미크론의 초미

    중앙일보

    2001.01.10 15:54

  • 현대전자, 초고속 512메가 DDR SD램 개발

    현대전자는 처리속도 333㎒의 초고속 512메가 DDR(Double Data Rate) SD램의 상용제품 개발에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제품은 0.12미크론의 초미

    중앙일보

    2001.01.10 13:34

  • 현대전자, 국내최초 '납' 없는 반도체 개발

    현대전자는 국내 최초로 `납(Pb)'이 없는 반도체패키지 및 반도체 메모리 모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4일 발표했다. 현대전자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128메가 SD램에 적용되는

    중앙일보

    2001.01.04 11:13

  • '실리콘 아일랜드' 대만을 가다

    세계가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이 반도체 강국이라지만 정보를 저장하는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중심이다. 정보를 처리하는 고부가가치 비메모리는 개인용컴퓨터(PC)

    중앙일보

    2000.12.26 10:13

  • [커버스토리]上. '실리콘 아일랜드' 대만을 가다

    세계가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이 반도체 강국이라지만 정보를 저장하는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중심이다. 정보를 처리하는 고부가가치 비메모리는 개인용컴퓨터(PC)와

    중앙일보

    2000.12.26 00:00

  • [커버스토리] '실리콘 아일랜드' 대만을 가다

    정부가 내년부터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사업 지원과 기술기업 육성을 위한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대만은 일찍이 1980년대부터 신주(新竹)지역을 테크노파크로 조성해 첨단

    중앙일보

    2000.12.25 19:30

  • 삼성전자, 0.17㎛ 적용 램버스 D램 양산

    삼성전자는 회로선폭 0.17㎛(1㎛은 100만분의 1m)을 적용한 램버스 D램 양산에 들어갔다고 14일 밝혔다. 램버스 D램은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싱크로너스 D램보다 속도가 1

    중앙일보

    2000.11.14 11:05

  • 마이크론 "D램 줄이고 플래시 메모리 늘린다"

    D램 분야의 강자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사업부문을 다변화, 플래시 메모리의 비중을 확대키로 해 주목을 모으고 있다. 마이크론 테큰로로지는 D램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체질을 바

    중앙일보

    2000.11.01 15:00

  • "D램 줄이고 플래시 메모리 늘린다"

    D램 분야의 강자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사업부문을 다변화, 플래시 메모리의 비중을 확대키로 해 주목을 모으고 있다. 마이크론 테큰로로지는 D램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체질을 바

    중앙일보

    2000.11.01 13:21

  • 128메가 D램 반도체 가격 급락

    D램 반도체가 성수기를 앞두었는데도 64메가D램에 이어 주력 제품으로 떠오른 1백28메가D램까지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북미 현물시장에서 1백28메가(

    중앙일보

    2000.10.01 00:00

  • 128메가 D램 반도체 가격 급락

    D램 반도체가 성수기를 앞두었는데도 64메가D램에 이어 주력 제품으로 떠오른 1백28메가D램까지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북미 현물시장에서 1백28메가(

    중앙일보

    2000.09.30 18:12

  • [D램 분야 삼성전자 독주 시작된다]

    D램 분야에서 삼성전자의 독주시대가 열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6일 반도체 10라인과 11라인 가동 계획을 발표한 것은 D램 세계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지배력을 확실히 하기 위한 전략을

    중앙일보

    2000.09.06 15:24

  • 'D램 분야 삼성전자 독주 시작된다'

    D램 분야에서 삼성전자의 독주시대가 열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6일 반도체 10라인과 11라인 가동 계획을 발표한 것은 D램 세계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지배력을 확실히 하기 위한 전략을

    중앙일보

    2000.09.06 15:22

  • 삼성전자 "2005년 반도체매출 300억달러"

    삼성전자는 6일 메모리와 비메모리, TFT-LCD(박막액정표시장치) 사업의 경쟁력을 극대화, 올해 130억달러 갸랑인 반도체부문 매출을 2005년에 300억달러로 확대키로 했다.

    중앙일보

    2000.09.06 12:49

  • 반도체 128메가 D램 시대

    국내 반도체업계의 `돈줄''인 D램 반도체 시장에서 기존의 주력제품인 64메가 D램을 대신하는 128메가 D램 전성시대가 열리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기억용량이 크고 처리속

    중앙일보

    2000.08.23 09:45

  • 반도체 업계 "현대전자 매각은 어불성설"

    정부와 채권단 일부에서 현대전자 매각을 통해 현대 유동성 위기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반도체 업계는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앞날을 생각하지 않는 미봉책"이라고

    중앙일보

    2000.08.04 09:27

  • 반도체 업계 "현대전자 매각은 어불성설"

    정부와 채권단 일부에서 현대전자 매각을 통해 현대 유동성 위기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반도체 업계는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앞날을 생각하지 않는 미봉책"이라고

    중앙일보

    2000.08.04 09:27

  • 삼성전자, 세계 최초 회로선폭 0.11㎛ 상용화 기술 개발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회로선폭 0.11㎛(1㎛는 100만분의 1m) 상용화 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제20회 VLSI(Very Large Scal

    중앙일보

    2000.07.18 14:07

  • 삼성전자 램버스D램 판매량 1천만개 돌파

    삼성전자는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반도체인 1백28메가램버스D램의 누적 판매량이 1천만개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처음으로 램버스D램의 양산에 들어갔으며

    중앙일보

    2000.06.23 00:00

  • 삼성전자 램버스D램 판매량 1천만개 돌파

    삼성전자는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반도체인 1백28메가램버스D램의 누적 판매량이 1천만개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처음으로 램버스D램의 양산에 들어갔으며

    중앙일보

    2000.06.22 18:43

  • 삼성전자 램버스D램 판매량 1천만개 돌파

    삼성전자는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반도체인 1백28메가램버스D램의 누적 판매량이 1천만개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처음으로 램버스D램의 양산에 들어갔으며

    중앙일보

    2000.06.22 17:47

  • 삼성전자 램버스D램 판매량 1천만개 돌파

    삼성전자는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반도체인 1백28메가램버스D램의 누적 판매량이 1천만개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처음으로 램버스D램의 양산에 들어갔으며

    중앙일보

    2000.06.22 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