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자로 보는 세상] 臺灣

    지난해 타계한 중국의 석학 지셴린(季羨林) 선생은 사랑 애(愛)자를 쓸 때는 간체자(簡體字) 대신 꼭 번체자(繁體字)를 고집했다. 간체자로 애(爱)를 쓰면 글자 가운데의 마음(心

    중앙일보

    2010.12.22 00:10

  • 800자로 본 중국 ⑮ 문자개혁

    800자로 본 중국 ⑮ 문자개혁

    한어병음표56개 민족, 13억3000만 인구의 중국에는 129개의 언어가 존재한다. 중국의 대표적 통용 문자는 한자다. 한자는 역사상 두 차례의 큰 개혁이 있었다. 2200여 년

    중앙일보

    2008.02.22 04:43

  • [어떤 인연]한학자 이구영옹-정치학자 심지연 교수

    "물을 건너고 또 물을 건너고/꽃을 보며 또 꽃을 본다/봄바람 강 위의 길에/와보니 그대의 집이로구나. " (渡水還渡水 看花復看花 春風江上路 不覺到君家) 작자 미상의 중국 명나라

    중앙일보

    1998.06.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