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외솔의 생애

    최현배 박사가 세상을 떠났다. 그분의 호는「외솔」이다. 한글 학자들의 호가 첫마디에 「외」니「한」니「ㅡ」로 시작되는 것은 우연인지 모르겠다.「한흰샘」(주시경),「한결」 (김윤경),

    중앙일보

    1970.03.24 00:00

  • 한글과 함께 살아온「외솔」|최현배선생의 학문과 생애

    선생의 한글에 대한 연구의 시초는 주시경선생으로부터 한성고보에서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광도고사」를 거쳐「경도대학」에서 선생은 철학을 전공하셨다. 선생은 귀국하면서「연희

    중앙일보

    1970.03.24 00:00

  • (188) 만세반세기

    오늘, 기미 독립운동의 5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있어서. 그당시의 독립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유적으로서, 영구히 보존해야만 할것이 몇군데 생각난다. 첫째로 3월1일 하오2시에

    중앙일보

    1969.03.01 00:00

  • 한결선생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을 후학들은「주보따리」라고 불렀다. 물론 애교있게 부른 스승의별 명이다. 주선생은 한글의 암흑기에 등사판 한글교재를 보따리에 싸서 들고 다니며 학교를 전전했었다

    중앙일보

    1969.02.06 00:00

  • 9일은 한글날 5백20돌|한글의 수난과 영광

    9일은 5백20돌을 맞는 한글날-. 세종28년 음력9월 훈민정음이 반포된이래 연산군의 한글폐지령, 조선어학회사전, 한글간소화 파동등 숱한 곤난을 겪었다. 한글이 겪은 이 수난과 영

    중앙일보

    1966.10.08 00:00

  • 한글과 민족의 예지

    「한글 날」의 첫째 의의를 든다면 우리의 나라글인 한글은 인류의 문자사상 가장 발달된 글이라는 것이다. 훈민전음 반포당시 28자, 현재는 홀소리 10자에 닿소리 14자인 24자라는

    중앙일보

    1966.10.08 00:00

  • 발명상에 빛나는|송계범씨의 「텔렉스 모아쓰기 텔리타이프」

    우리 한글은 세계적으로 뛰어 난 문자라고 국민학교에서는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한글에는 중요한 두 가지 결점이 있으니 하나는 아직도 완전치 못한 맞춤법이며 또 하나는 기계화의 어려

    중앙일보

    1966.05.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