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구 포함한 거대 삼각형 그려 화성·태양 사이 거리 계산하죠

    지구 포함한 거대 삼각형 그려 화성·태양 사이 거리 계산하죠

    1 2012년 금성이 태양을 지나가는 일면통과 장면. 태양 오른쪽 위 검은 점이 금성이다. 서식처를 나와 하루를 시작하는 야생동물은 자신을 보호하기 어려운 시각이 오기 전까지 반

    중앙선데이

    2016.01.17 00:36

  • 고대 마야의 ‘5125.25년 주기’는 무엇을 위한 대비였나

    고대 마야의 ‘5125.25년 주기’는 무엇을 위한 대비였나

    마야인이 만든 달력. 기원전 3114년 8월 13일에 시작돼 2012년 12월 21일에 끝난다. 동양과 서양은 같은 하늘을 바라보면서도 다른 생각을 했다. 하루의 힘든 일과를 마

    중앙선데이

    2015.11.15 00:36

  • [궁금한 화요일] 뉴욕으로 휴가? X선 한 번 찍는 겁니다

    [궁금한 화요일] 뉴욕으로 휴가? X선 한 번 찍는 겁니다

    바야흐로 휴가철이다. 이맘때 가장 붐비는 곳 중 하나가 공항이다. 지난해 여름 성수기(7월 12일~8월 25일) 출입국자는 519만 명을 넘겼다. 한데 해외 여행객들이 잘 모르는

    중앙일보

    2014.07.08 00:34

  • 노벨물리학상 펄머터·리스·슈밋

    노벨물리학상 펄머터·리스·슈밋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을 관찰해 우주가 가속팽창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미국 출신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한림원 노벨 물리학상

    중앙일보

    2011.10.05 00:24

  • [과학으로 세상보기] 첨성대, 천문대냐 제단이냐

    첨성대에는 문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 곳에서 별을 봤다는 기록도 없다. 그래서 누구나 한 번쯤은 저게 정말 천문대였을까 하는 의심을 갖게 된다. 그러니 첨성대가 천문대가 아닌 제

    중앙일보

    2004.08.26 18:33

  • 1만1000년전 폭발 별 '돛자리' 한국서 첫 촬영

    1만1000년전 폭발 별 '돛자리' 한국서 첫 촬영

    1만1000년 전 폭발한 초신성 '돛자리'의 거대한 잔해 영상이 우리나라 과학위성의 천체망원경에 잡혔다. 원자외선을 이용해 이 잔해의 전체 모습을 찍은 것은 세계 처음이다. 한국

    중앙일보

    2004.04.22 18:30

  • [우주 탐험 시대] 下. 별은 왜 깜빡 거릴까

    지금 보는 별들은 모두 과거 모습이다. 태양도 8분19초 전 모습이며,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켄타우리는 4.3년 전의 모습이다. 이는 빛의 속도로 달려도 그만큼 멀리 떨어져 있다

    중앙일보

    2001.04.30 10:05

  • [우주 탐험 시대] 下. 별은 왜 깜빡 거릴까

    지금 보는 별들은 모두 과거 모습이다. 태양도 8분19초 전 모습이며,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켄타우리는 4.3년 전의 모습이다. 이는 빛의 속도로 달려도 그만큼 멀리 떨어져 있다

    중앙일보

    2001.04.30 00:00

  • [꾸러기 책동네] '어떻게 양을…'

    영화 '주라기 공원' 에서처럼 정말로 공룡을 재생시킬 수 있을까? '타임머신' 을 타고 수천년 후로 가보면 미래 인간들은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들이 가질 법한 이런 호기심이란 유전

    중앙일보

    2000.12.09 10:34

  • [꾸러기 책동네] '어떻게 양을…'

    영화 '주라기 공원' 에서처럼 정말로 공룡을 재생시킬 수 있을까? '타임머신' 을 타고 수천년 후로 가보면 미래 인간들은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들이 가질 법한 이런 호기심이란 유전

    중앙일보

    2000.12.09 00:00

  • [숫자로 보는 과학] 5분 外

    5분 한국원자력연구소.아주대병원은 최근 방사성동위원소 (홀뮴 - 166) 를 이용한 관상동맥협착 재발방지 수술법을 개발했다. 수술에 걸리는 시간은 최장 5분. 방사성동위원소가 혈관

    중앙일보

    1999.08.30 00:00

  • "별보면 마음도 맑아져요"

    지난달 29일 오후 6시30분 서울 여의도한강고수부지에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천문대가 4월 과학의 달을 보내며 주최한 천문우주행사 「별의 축제 93」이 우주소년단의 축하로 첫 발사를

    중앙일보

    1993.05.04 00:00

  • 초신성 폭발 세계천문학계"흥분"

    별의 종말을 보여주는「초신성」폭발현상이 최근 우리와 비교적 가까운 은하에서 관측됨으로써 세계 천문학계는 흥분에 휩싸여 있다. 초신성 폭발현상은 별의 일생은 물론 우주의 천문학적인

    중앙일보

    1993.04.06 00:00

  • 우주폭발… 「초신성」탄생

    ◎수개월내 소멸… 소백산 천문대서 국내 첫 촬영 지난달 28일부터 전세계 천문학계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초신성」 폭발현상이 국내 처음으로 소백산 천문대에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중앙일보

    1993.04.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