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일 경비정과 충돌, 우리어선 침몰|「수역」싸고 한·일간 분쟁?

    【동경=강범석특파원】27일 한·일간 수역 대마도 앞 바다에서 한국어선 제22동일호(64톤·선주 유치호)와 일본 순시선이 충돌, 한국 어선이 침몰하는 전례 없는 해난사건이 일어나 「

    중앙일보

    1967.04.28 00:00

  • 견시에 쌍방 태만

    【부산】한일호 침몰사건을 심리중인 부산지법 유상호 판사는 10일 사고해역의 현장검증에서 충돌의 과실책임이 한일호측에도 있다는 심증을 굳힌 듯 하다. 이날 상오 11시 해경 865정

    중앙일보

    1967.04.11 00:00

  • 책임규명 불투명 속에|한일호 사고 벌써 한달

    1백여 생명을 앗아간 「한일호」 참사가 있은 지 한 달째― 7일 현재 아직도 사고의 원인과 책임 소재가 밝혀지지 않은 채 물 속에 잠긴 원혼을 달랠 길 없다. 특히 「한일호」와 충

    중앙일보

    1967.02.07 00:00

  • 구박 심한 민간항로

    [진해]김상길 해군통제부 사령관은 3일 상오 일반 선박의 군항 구역내 무단항행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진해 군항 구역내에서 생긴 「한일호」침몰 사고에 자극 받은 해군은 「그런 충돌

    중앙일보

    1967.02.04 00:00

  • 모인 유족 3백 62명

    침몰한 한일호 유족들은 각지에서 진해로 몰려들어 3백 62명이 각 여관에 묵고 있는데 이옥자(24·삼천포시 동동)양을 잃은 오빠 이옥봉씨가 주동이 되어 혼기를 앞둔 남녀를 영혼이라

    중앙일보

    1967.01.20 00:00

  • 한일호 선체인양

    【진해=본사감시취재반】침몰된 한일호 선체가 사고발생 후 6일째 되는 19일 하오 인양되었다. 이날 하오 1시 한일호 선체는 해군 60「톤」짜리「크레인」선에 의해 해저에서 인양된 뒤

    중앙일보

    1967.01.19 00:00

  • 구멍 뚫린 뱃길

    가덕도 앞 바다에서 해군 함정과 충돌한 여수∼부산간 「한일호」의 침몰로 1백명 가까운 선객과 선원이 사망했다는 소식은 새해 들어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다. 사나운 추위가 몰아친 14

    중앙일보

    1967.01.16 00:00

  • 어선·경비정 충돌

    【속초】24일상오 7시20분쯤 강원도고성군현내면 어로저지선 남방 6「마일」해상에서 거진항소속 명태잡이어선 수산호(5톤·12마력·선주·임병길·51)가 해군708함(함장 하수한소령)과

    중앙일보

    1966.10.25 00:00

  • 오징어 배 조난|44척 행방 몰라|확인된 것만도 6척 침몰·13명 익사|실종 13명도 생환 힘들듯|대진 앞 바다서 파고 4미터·구조에 엄두못내

    【대진=양정희 기자】1일 상오 2시부터 8시까지 북부 동해안 일대를 휩쓴 대진 항동쪽 1백 「미터」앞 바다에서 오징어잡이 하던 거룻배 6척이 침몰, 5척이 대피, 어부 13명이 익

    중앙일보

    1966.09.02 00:00

  • 공해 상 선박 충돌사고 보상과 각국의 예

    13일 서해 대흑산도부근 공해상에서 일어난 우리어선 「영양호」(10톤)와 일본 냉동선 「와꼬마루」(화광구·2백94톤)간의 충돌사고의 처리는 앞으로 빈번히 있을 일본과의 해상사고의

    중앙일보

    1966.04.16 00:00

  • 개선 해군812·51함|부두엔 그리운 얼굴들|흥겨운 가락타고 만국기 펄펄

    월남해역에서 7개월동안 비둘기부대·맹호부대·청룡부대의 군수물자수송 및 경비지원작전을 마치고 해군812함(LST)이 1일 상오 10시30분 진해에 무사히 돌아왔다. 함장 김삼중중령이

    중앙일보

    1965.12.01 00:00

  • (상) 새 번영의「터전」…바다는

    3면의 울타리가 「바다」라 했다. 바다는 우리에게 번영을 주는 전위영토-. 풍부한 수산자원의 밭과 해운의 길이 되는 삶의 터전이다. 여기에 보이지 않는 선이 있다. 평화선도 있고

    중앙일보

    1965.09.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