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92) |내가 아는 이 박사-경무대 사계 여록 (119)|임영신

    내가 이 박사를 처음 만난 것은 1923년 관동 대 진재 때 일본이 우리 한국인에게 저지른 만행을 담은 「필름」을 이 박사에게 전달하려고 처음 미국에 갔을 때이다. 이 박사와의

    중앙일보

    1972.06.22 00:00

  • 경무대 사계(93)-김상래|남기고 싶은 이야기들(466)-

    일본과의 국교정상화에 대한 이대통령의 태도는 몇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 회담을 시작 할 때는 미우나 고우나 일본이 이웃 나라인 만큼 한일문제를 해결해야겠다는 생각이었다. 그러

    중앙일보

    1972.05.23 00:00

  • (463) | 경무대 사계 (90)|김상래

    이 박사는 국내 신문을 거의 읽지 않았다. 그러나 외국 신문 특히 미국에서 발행되는 「뉴요크·타임스」「워싱턴·포스트」등은 관심 있게 읽었다. 그래도 초기에는 공보 비서였던 김광섭

    중앙일보

    1972.05.19 00:00

  • (107)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동경에 있는 영친왕의 저택이 국 유니까 즉시 반환케 하라는 이대통령의 성화같은 독촉에도 불구하고 김용주 공사나 신성모 대사는 당시 일본정부의 견해나 스캡(연합국최고사령부)의 바임이

    중앙일보

    1970.09.09 00:00

  • 유태하씨 등 증언

    서울형사지법 이한동 판사는 3일 상오 신민당 전국구후보였던 재일교포 김재화(65) 피고의 국가보안법위반 등 피고사건에 대한 증인심문을 했다. 이날 증언대에 나선 피고인측증인 전 주

    중앙일보

    1967.11.03 00:00

  • ② 단결 해치는 「계보」

    김 씨는 조선인연맹(민단 결성 전) 추전현 본부 결성준비 위원장으로 박렬씨가 추전형무소서 풀려나올 때 신변일체를 돌보면서 인적관계를 굳혔다고 한다. 권일씨는 박렬씨의 구 동지인 전

    중앙일보

    1967.06.20 00:00

  • 기구한 문화재 편역|개인 소유가 된 신라 때 불상 3구

    6·25때 잃었던 신라통일기의 귀한 불상 3구가 법의 판가름 끝에 17년만에 국가소유로부터 주인의 손에 되돌려지게 되었다. 서울 민사지법 15부(재판장 원종백 부장판사)는 현 감사

    중앙일보

    1967.04.15 00:00

  • 하는사업 없다지만 정계진출 의욕 대단|등산·골프로 건강만점

    이박사 10년 집권에 처음부터 총애를 받고 날이 갈수록 더욱 신임을 얻어 계속해 그를 모실 수 있었던 사람으로는 유태하(58)씨를 손꼽을 수 있다. 51년에 주일대표부참사관으로 건

    중앙일보

    1966.06.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