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장균으로 휘발유 뽑고 색소 만들어…석유시대 끝날 것”

    “대장균으로 휘발유 뽑고 색소 만들어…석유시대 끝날 것”

     ━  [최준호의 첨단의 끝을 찾아서] 시스템대사공학 선구자 이상엽 KAIST 교수   석유 고갈의 시대를 걱정해야 하는 줄 알았다. 한데 그게 아니었다. 석유는 여전히 넘쳐나는

    중앙선데이

    2021.06.26 00:02

  • "대장균으로 휘발유 뽑는다" 석유시대 끝났다는 KAIST 교수

    "대장균으로 휘발유 뽑는다" 석유시대 끝났다는 KAIST 교수

     ━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의 [첨단의 끝을 찾아서]    이상엽 교수는 한국을 넘어 세계적으로 평가받는 학자다. 미국 국립과학원과 미국공학한림원, 영국 왕립학회 외국회원에

    중앙일보

    2021.06.25 11:00

  • 이 지도만 보면 대장균으로도 휘발유·플라스틱 만든다

    이 지도만 보면 대장균으로도 휘발유·플라스틱 만든다

    이상엽 KAIST 교수가 14일 KAIST 연구실에서 대장균으로 만든 휘발유가 든 실험도구를 들고 있다. 15일 네이처 카탈리시스에 실린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지도가 이 교수

    중앙일보

    2019.01.15 01:00

  • 이상엽 KAIST 교수 아시아인 첫 ‘제임스 베일리상’

    이상엽 KAIST 교수 아시아인 첫 ‘제임스 베일리상’

    KAIST의 이상엽(52·사진) 생명화학공학과 특훈 교수가 아시아인 최초로 ‘제임스 베일리상’을 수상한다. 2005년 제정된 제임스 베일리상은 생물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

    중앙일보

    2016.09.23 01:15

  • 한약 '군신좌사(君臣佐使)' 처방, 과학적 근거 있었다

    군신좌사(君臣佐使). “주된 약효를 내는 ‘임금(君) 약’을 다른 약들로 보조·강화하고(臣), 독성을 낮추며(佐), 질병 부위로 인도하고 중화한다(使)”는 전통 한방(韓方) 원리다

    중앙일보

    2015.03.11 16:30

  • KAIST 연구진, 미생물서 가솔린 뽑아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미생물을 이용해 가솔린(휘발유)을 만들었다. 채굴한 원유를 정제해 얻는 기존의 가솔린과 달리 바이오매스(biomass·광합성을 하는 식물 등 유기성 물질

    중앙일보

    2013.09.30 00:14

  • GS칼텍스, 차세대 연료 바이오 부탄올 생산성 3배 높였다

    GS칼텍스, 차세대 연료 바이오 부탄올 생산성 3배 높였다

    원유 정제 과정의 찌꺼기에서 등유와 경유를 만들어내는 GS칼텍스 전남 여수 제3중질유 분해시설. 단일 설비 투자 세계 최대 규모인 2조2000억원을 들여 2010년 완공했다. [사

    중앙일보

    2012.10.30 04:04

  • 병균 가상세포로 맞춤치료

    병균 가상세포로 맞춤치료

    병균의 가상세포로 최적의 약물을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사진 왼쪽) 특훈교수와 김현욱(박사과정·사진 오른쪽)씨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균의 가

    중앙일보

    2010.02.19 06:09

  • 대장균으로 나일론 만든다

    석유화학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대장균으로 나일론 원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팀은 대장균의 유전자를 변형해 나일론의 원료가 되는 다이아민

    중앙일보

    2009.09.01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