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래 먹여 살릴 ‘유전자 도서관’

    미래 먹여 살릴 ‘유전자 도서관’

    1948년 네덜란드 태생의 미국 식물생리학자 F W 웬트는 작은 실험을 시작했다. 그 실험이 점점 커져 지금 세계적인 과학 프로젝트로 발전했다. 갈수록 적대적인 환경에서 인류를 구

    온라인 중앙일보

    2015.12.20 00:01

  • DNA 변이 여부 들여다 보면 자살 40% 막을 수도 있다

    DNA 변이 여부 들여다 보면 자살 40% 막을 수도 있다

    ‘굿모닝 베트남’에서 쾌활한 배우였던 로빈 윌리엄스는 알코올 중독과 심한 우울증으로 결국 자살했다 ‘굿-모닝 베트남!’. 한 옥타브 높은 오프닝 멘트와 경쾌한 음악으로 시작되는

    중앙선데이

    2015.11.01 00:36

  • [삶의 향기] 노벨과학상, 묵묵히 응원하며 기다려 주었으면

    [삶의 향기] 노벨과학상, 묵묵히 응원하며 기다려 주었으면

    김동규서울대 의대교수신경외과학세월이 세상을 바꾼다. 당연한 자연의 이치다. 의료계나 의료 환경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세균의 발견과 예방법, 항생제의 발명으로

    중앙일보

    2015.10.31 00:48

  • 악몽은 지우고 추억은 ‘보관’ 당신의 기억도 편집할 수 있다

    악몽은 지우고 추억은 ‘보관’ 당신의 기억도 편집할 수 있다

    첫사랑이 오래가듯 어린 시절 반복된 기억들이 평생을 지배한다. (‘학교의 아이들’ 1866, 유진 프란시스) ‘끼-익’ 소리와 함께 백미러 속의 승합차가 달려들며 차를 호되게 들

    중앙선데이

    2015.10.11 00:36

  • 양배추 갉아먹는 애벌레, 유전자 조작 퇴치법 찾는다

    양배추 갉아먹는 애벌레, 유전자 조작 퇴치법 찾는다

    1 교미하는 배추좀나방. 2 배추좀나방 애벌레. 3 배추좀나방으로 피해를 본 뉴욕주의 한 양배추밭. 미국 코넬대 연구진은 농약 대신 유전자 조작으로 나방을 퇴치하는 방법을 연구하

    중앙선데이

    2015.09.26 18:51

  • [책 속으로] 범죄자, 핏줄은 못 속인다고?

    [책 속으로] 범죄자, 핏줄은 못 속인다고?

    톰 크루즈가 주연한 SF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2002)에는 범죄 발생 전에 범죄자를 예측해 단죄하는 미래 사회가 그려진다. 기계장치 안에 감금된 쌍둥이들의 예지력을 통해서다.

    중앙일보

    2015.08.22 00:38

  • 120세를 새로운 70세로

    120세를 새로운 70세로

    [뉴스위크] 정밀의학·유전자 편집·줄기세포 요법·3D 바이오 프린팅으로 질병 치료와 장수를 추구한다 미국 텍사스주 할링겐에 사는 번 휠라이트(79)는 내일모레가 팔순이지만 60세처

    온라인 중앙일보

    2015.08.10 00:01

  • 오래 살려면 ‘정기적으로’ 굶어라?

    오래 살려면 ‘정기적으로’ 굶어라?

    [뉴스위크] FMD는 굶지 않으면서 굶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다이어트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야채수프와 에너지바, 에너지 드링크, 저열량 스낵을 먹고 카모마일 차를 많이 마셨

    온라인 중앙일보

    2015.08.01 00:01

  • 유전자요법으로 색맹 치료

    유전자요법으로 색맹 치료

    [뉴스위크] 다람쥐원숭이의 눈에 유전자를 주사해 색깔 볼 수 있게 돼… 2년 후 인체실험 시작할 수도 누구나 알다시피 원숭이는 눈으로 보고 행동한다. 그리고 다람쥐원숭이 샘은 대다

    온라인 중앙일보

    2015.06.04 05:06

  • 어휘능력 60~70대에 ‘활짝’

    어휘능력 60~70대에 ‘활짝’

    70대 초반에 어휘능력이 절정에 달하는 이유는 지적 자극을 받을 기회가 많아서다. [뉴스위크] 과학자들은 빠르게 생각하고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 즉 유동지능(fluid intell

    온라인 중앙일보

    2015.04.12 00:01

  • 비만과의 전쟁에서 기선 잡았다

    비만과의 전쟁에서 기선 잡았다

    [뉴스위크]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의 효과를 모방해 식욕을 조절할 수 있는 ‘마법의 약’ 개발 머지않아 요즘 비만은 우리 몸뚱이만이 아니라 뉴스까지 지배한다. 지난해 12월

    온라인 중앙일보

    2015.04.02 00:01

  • 혹시 나도 칭기즈칸의 후손?

    혹시 나도 칭기즈칸의 후손?

    칭기즈칸이 아시아 남성 수백만 명의 시조일 가능성이 있다. 사진은 몽골의 병마용과 칭기즈칸 조각상. 아시아 남성 수백만 명의 시조가 800년 전 몽골의 정복자 칭기즈칸일 가능성이

    온라인 중앙일보

    2015.02.20 00:01

  • [Saturday] 300만 번째 아이에게 집 한 채 … 몽골 '출산 로또' 열풍

    [Saturday] 300만 번째 아이에게 집 한 채 … 몽골 '출산 로또' 열풍

    몽골의 최대 민속 행사인 나담 축제에 나온 전통 기마군단. 나담 축제는 몽골 혁명기념일인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매년 열린다. [중앙포토] 몽골의 전통 문화

    중앙일보

    2015.01.24 00:58

  • 몸과 영혼은 둘 아니다 … 뇌 연구하면 종교도 새로워져

    몸과 영혼은 둘 아니다 … 뇌 연구하면 종교도 새로워져

    올해 종교·과학센터를 설립한 채수일 한신대 총장(오른쪽)과 뇌과학자 신희섭 박사. 21세기 종교를 이해하려면 뇌과학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최근 한국기독

    중앙일보

    2014.12.15 00:01

  • [책 속으로] MS가 직원등급 평가를 없앤 까닭은 …

    [책 속으로] MS가 직원등급 평가를 없앤 까닭은 …

    2005년 세계 과학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을 다룬 영화 ‘제보자’의 한 장면. 저자 마거릿 헤퍼넌은 남들보다 빨리 성과를 내 명성과 부를

    중앙일보

    2014.11.01 00:20

  • [궁금한 화요일] 뇌 비밀 푼다, 광유전학

    [궁금한 화요일] 뇌 비밀 푼다, 광유전학

    “뇌가 우리가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단순했다면 우리는 너무 단순해서 뇌를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2008년 사망한 과학저술가 라이얼 왓슨이 남긴 유명한 역설이다. 하지만

    중앙일보

    2014.09.16 01:54

  • [사람 속으로] 노벨상 예측 전문가가 뽑은 한국 유망 과학자

    [사람 속으로] 노벨상 예측 전문가가 뽑은 한국 유망 과학자

    “천진우(Jinwoo Cheon), 조길원(Kilwon Cho), 조열제(Yeol Je Cho), 현택환(Taeghwan Hyeon)….”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국제

    중앙일보

    2014.05.31 03:03

  • 『지구의 정복자』에드워드 윌슨 인터뷰 전문

    장대익 교수와 에드워드 윌슨의 인터뷰 전문 “그의 고차원적 사고와 글쓰기를 생각하면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결코 추천할 수 없다” 한 저명한 진화학자의 이런 평가를 받은 책이라

    중앙일보

    2013.11.30 00:01

  • 무리에 묻어갈 수 없는, 하나뿐인 ‘원본’이니까

    무리에 묻어갈 수 없는, 하나뿐인 ‘원본’이니까

    히로시마나가사키에 떨어져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핵폭탄. 그 폭탄을 만든 과학자의 책임은 무엇인가? [사진 위키피디아] 1937년 12월 13일, 중국 국민당 정부가 충칭(重慶)

    중앙선데이

    2013.09.08 01:32

  • 가짜 기억 이식 성공…연구진 "기억 조작도 가능"

    가짜 기억 이식 성공…연구진 "기억 조작도 가능"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사진 중앙포토] 가짜 기억을 이식하는 실험이 성공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최근 영국 BBC는 “미국 매사추세크공대(MIT)의 피카워 학습기억연구소 과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8 10:52

  • [건강 칼럼] 백혈병 치료의 역사 ② 만성골수성백혈병, 완치의 희망을 쏘다

    [건강 칼럼] 백혈병 치료의 역사 ② 만성골수성백혈병, 완치의 희망을 쏘다

    (좌)순천향대 서울병원 종양혈액내과 김경하 교수 (우)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정옥 교수 혈액종양내과 전문의로 많은 백혈병 환자를 진료하고 돌봐왔지만, 여전히 병원을 찾은 환자

    중앙일보

    2013.05.10 10:37

  • [중앙시평] 퇴임 교수의 마지막 강의

    [중앙시평] 퇴임 교수의 마지막 강의

    정재승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당신 음악의 뿌리는 무엇입니까? 당신네 나라 음악은 어떤 것입니까?” 젊은 시절 내내 기타를 치고 록과 소울을 연주해온 우리나라 뮤지션에게

    중앙일보

    2013.02.22 00:35

  • 생각이 막 움직이네! 뇌 속 촬영 성공

    살아있는 생명체의 뇌 속에서 생각이 ‘발생’하고 ‘이동’하는 모습이 최초로 촬영됐다. 일본 국립유전학 연구소 과학자들은 지난달 31일 발행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러지’에 관련

    온라인 중앙일보

    2013.02.05 00:02

  • 생각이 막 움직이네! 뇌 속 촬영 성공

    살아있는 생명체의 뇌 속에서 생각이 ‘발생’하고 ‘이동’하는 모습이 최초로 촬영됐다. 일본 국립유전학 연구소 과학자들은 지난달 31일 발행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러지’에 관련

    온라인 중앙일보

    2013.02.04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