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울복판에 오색딱따구리 살아

    서울시내 주택가에서 오색딱따구리 한쌍이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서울 선정고 생물교사인 유대규(柳大奎.42)씨는 최근 서울 은평구신사2동 현대아파트 주변 나무에 살고 있는 딱따구리

    중앙일보

    1996.05.05 00:00

  • 국내유일 원시림 인제 진동리 '세계의 자연유산'등록 추진

    우리나라 최대의 천연활엽수림 군락지인 강원도인제군기린면진동리일대의 원시림(약도 참조)을 유네스코 「세계의 자연유산」에 등록,영구히 보존하자는 운동이 지역주민과 학계.환경보전단체등에

    중앙일보

    1996.04.09 00:00

  • '깃대種살리기운동'참여 활발-본사.배달녹색聯 주관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 동.식물 보전을 통해 지역생태계 전반의회생을 꾀하기 위해 중앙일보와 배달녹색연합이 벌이고 있는 「깃대 종(種)살리기운동」(본지 2월26일자 17,22면 보도)

    중앙일보

    1996.03.14 00:00

  • 야유회 가볼만한곳-유일레저.서운동산등 모임예약 쇄도

    4월은 야유회철이다.봄꽃이 화사하게 피고 훈풍이 불 즈음인 4월 중순께 새식구를 맞아들인 직장들은 신입사원과 상견례도 하고 조직에 새로운 활력도 불어넣기 위해 야유회를 떠난다.그래

    중앙일보

    1995.04.06 00:00

  • 인제군 기린면일대 원시림 보호운동 추진

    우리나라 최대의 천연 활엽수림 군락지인 강원도 인제군기린면진동리 일대의 원시림을 유네스코가 정한「세계의 자연유산」에 등록,영구히 보존하자는 운동이 인제군민.학계.환경보전단체등에서

    중앙일보

    1994.06.17 00:00

  • 환경처·전문가 3개월간 생태계 조사결과(환경)

    ◎민통선지역/천연기념물 11종 확인/사향노루·곰 등 발견/특산식물 56종·희귀식물 40여종도/호랑이·표범·늑대는 흔적 발견안돼 40년간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민통선 지역에는 지

    중앙일보

    1992.08.25 00:00

  • 생태계보호지역 지정위해 울릉도 정밀조사 실시/희귀동식물 분포조사

    울릉도를 자연생태계보호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밀지역조사가 실시된다. 환경처는 7일 86년부터 90년까지 실시한 전국 자연생태계 조사결과 울릉도에는 향나무 자생지·너도밤나무 군락·

    중앙일보

    1992.08.07 00:00

  • 5색 단풍 물결「남녘의 금강산」|내장산

    내달 2∼3일 절정 전국의 산과 들이 형형색색으로 채색되면서 가을빛이 넘치고 있다. 단풍하면 뭐니뭐니해도 선뜻 떠오르는 산은 역시 내장산. 노령산맥의 한줄기가 서해를 향해 달리다

    중앙일보

    1990.10.26 00:00

  • 보호조 큰 오색 딱다구리 한라산 중턱에 집단서식

    ○…전국적인 보호조이며 제주도 특별 야생 보호조인 제주 큰 오색 딱다구리가 해발 4백m고지의 한나산 산림지구인 제주시 아나동 관음사일대 밤나무 밭에서 집단서식하고 있음이 14일 밝

    중앙일보

    1983.06.15 00:00

  • (348)까막딱다구리|처음으로 한수 이남 찾아 둥우리 친 희귀조

    멸종위기에 놓인 희귀한 새들이 빼앗긴 옛 보금자리로 되돌아오고 있다. 경기도 광릉의 크낙새 충북음성과 청원의 황새, 비무장지대 안의 두루미 등이 다시 나타나는가 하면 크낙새와 맞

    중앙일보

    1973.02.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