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상업지역 43곳 새로 지정

    현재 準주거나 일반주거지역인 양재.불광.공항.구의등 43개 지구중심이 상업지역으로 신규 지정되고 약수.도봉.홍은.당산등 84개 일반주거지역이 準주거지역으로 바뀐다. 또 서울 도심과

    중앙일보

    1994.12.27 00:00

  • 효자·사직·후암 등 51개 동|3일 15시간 단수

    서울 보광 수원지 시설보수 및 강변도시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수도관 이설공사로 종로구 효자동 등 7개구 51개동 14만여 가구에 3일 오전 9시부터 자정까지 15시간 동안 수돗물공

    중앙일보

    1992.04.01 00:00

  • 다가구·다세대 주택 대형 수도관 의무화

    올 하반기부터 단독주택 등을 헐어 다가구·다세대 주택을 지을 때 의무적으로 기존의 좁고 낡은 수도관을 새로 짓는 가구의 수돗물 사용량에 걸맞은 규모의 수도관으로 교체해야 하며 이를

    중앙일보

    1992.01.22 00:00

  • 모교중학생에 “한표” 영향력 기대(내고장 표밭)

    ◎홍보물 누락 동사무소 사과방송/전과 들통나자 자진사퇴 하기도 ○정류장서 선거운동 ○…상일동 이모후보(56)는 선거법상 호별방문 지지호소가 어렵게 되자 매일 오전 6시30분부터 2

    중앙일보

    1991.03.23 00:00

  • 신도시 인기 평촌ㆍ분당순

    ◎주택은행조사/선택기준은 “교통” 최우선 수도권의 5개 신도시중 평촌으로 가고 싶다는 사람이 34.7%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은 분당(34.3%) 일산(14.8%) 산

    중앙일보

    1990.11.17 00:00

  • 은평·서대문구 10만 가구 아침 단수소동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수원지 시설보수를 위해 28일 서울 74개동에 대해 13시간동안 단수를 한다고 발표했으나 24개동에서는 26시간이 지나도록 수돗물이 나오지 않아 10만가구가

    중앙일보

    1990.06.29 00:00

  • 주거지 등 상업지변경 요구 늘어

    지방자치제 실시를 앞두고 서울시내 각 구청이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세수(세수) 증대를 위해 주거·준 주거·준 공업 지역을 상업 지역으로 바꿔줄 것을 요구하는 사례가 부쩍 늘어나

    중앙일보

    1990.02.13 00:00

  • 마포·은평·서대문구 기개동 13시간 단수

    성산동∼증산동간 서부간선도로 신설공사로 마포·은평·서대문구등 3개구 21개동 11만가구에 10일 오후9시부터 11일오전10시까지 13시간동안 수도물이 끊긴다. 이번 단수조치는 서부

    중앙일보

    1989.05.06 00:00

  • 의상디자인 콘테스트 1 차 합격자|여성중앙 24명 발표

    ▲강구락(노원구 공릉 1동 509의21)▲이광수(대구시수성구상동 335의4)▲김정남(마포구공덕동 110의36) ▲오은선(경기도성남시 수진 1동 648)▲최희연(강남구 삼성동 동남아

    중앙일보

    1988.07.14 00:00

  • 30일 일부 단수

    보광동수원지와 우면산배수지 시설보수공사로 30일상오8시부터 시내 일부지역에 수도물이 나오지 않는다. 단수시간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 ◇30일상오8시∼31일상오6시(22꼬시간)▲종로

    중앙일보

    1987.10.28 00:00

  • 111개동 물사정 좋아진다

    암사수원지 1단계 건설공사가 끝나 12일부터 20일까지 14개구 1백11개동에 수도물을 공급, 물사정이 좋아진다. 서울시는 1일생산량 1백만t규모의 암사수원지 건설공사중 1단계로

    중앙일보

    1986.07.12 00:00

  • 강서·구로 등 44개 지역

    20일 상오9시부터 하오3시까지 6시간 영등포수원지 급수구역인 강서구 등 4개구 4개동과 구로·영등포지역 공장지대에 수도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이번 단수는 한강종합개발에 따른 강

    중앙일보

    1986.04.17 00:00

  • 5개구 43개동 8∼9일 단수

    은평·강서·서대문·마포·구로 등 5개구 43개동에 8일 상오8시부터 9일 상오7시까지 수도물이 나오지 않는다. ◇은평구=불광3 갈현 귀산 역촌1, 2 신사 증산 수색 율관내·외 녹

    중앙일보

    1985.11.06 00:00

  • 종로등 7개구 46동

    보광동수원지 내부설비 보수공사로 11일 상오8시부터 하오8시가지 12시간 종로구 평창동등 7개구 46개동 지역에 수도물이 나오지 않는다. 단수지역은 다음과 같다. ◇종로구=평창 부

    중앙일보

    1985.07.09 00:00

  • 남-서부 9개구 127개동 52만가구|20일 상오부터 수돗물 안나온다

    오는 주말인 20일상오10시부터 22일 상오10시까지 서울의 서부및 남부지역 9개구 1백27개동 52만 가구에 24∼48시간동안 수도물이 나오지 않는다. 서울시는 이번 단수가 양화

    중앙일보

    1985.04.16 00:00

  • 38개동 일요일에 단수

    영등포수원지 급수구역인5개구관내 38개동에 20일상오8시부터 밤12시까지 수도물이 나오지 않는다. 이 단수조치는 수원지 시설점검및 보수공사때문, 습수중단지역은 다음과같다. ◇서대문

    중앙일보

    1983.11.17 00:00

  • 위령

    사자들만 서러운가 생자는 울부짖고 이런마당에 어이 피부색을 가리랴 죄없어 눈 못감을 혼령들게 명복 빌 말 못찾겠네

    중앙일보

    1983.09.10 00:00

  • 32동 내일단수

    서울은평구 등 영등포 수원지 급수구역인 4개구 청관32개 동의 급수가 지하철 공사관계 등으로 인해 20일 상오8시∼21일 상오5시까지 21시간 동안 중단된다. 급수중단지역은 다음과

    중앙일보

    1982.06.19 00:00

  • 16일 낮 46개 동 단수

    종로구 등 서울시내 7개 구청 산하 46개 동에 16일 상오8시부터 하오6시까지 10시간동안 수도물이 나오지 않는다. 서울시는 지하철 공사구간과 도로확장 공사장의 전주이설 공사 및

    중앙일보

    1982.05.12 00:00

  • 어린이공원 32곳 문열어

    어린이 전용공원 32개소가 어린이날을 하루 앞둔 4일 일제히 문을 열었다. 서울시가 2억4천만원을 들여 만든 어린이공원은 평균 2백∼3백평 규모이나 가장 큰 것은 1천5백평짜리도

    중앙일보

    1982.05.04 00:00

  • 갈곳 없는 어린이들…절벽이 놀이터로

    서울은 자꾸 넓어져도 어린이들이 놀 곳은 늘지 않는다. 사진은 서울 서대문구 불광동 금호아파트뒷산. 야산 비탈길을 기어오르는 어린이가 위험스럽게만 느껴진다. 철책이라도 하나 둘러져

    중앙일보

    1982.04.15 00:00

  • 무악재 인근 15개동 14일까지 단수

    지하철3호선 붕괴사고에 대한 복구작업이 늦어짐에 따라 인근지역에 14일 자정까지 물이 나오지 않는다. 단수가 계속되는 지역은 종로구의 평창·부암·무암동, 서대문구의 홍은1·2·3동

    중앙일보

    1982.04.12 00:00

  • 생필품

    서울 북서부 지역 시장가운데서는 모래내시장이 가장 생필품값이 싸다.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는 최근 서울종노구 창신·마포구 공덕·성산, 은평구 불광, 서대문구 인왕·모래내, 용산구 이촌

    중앙일보

    1982.03.23 00:00

  • 수도물 불법사용

    서울충무로2가50 라이온스호텔(대표 호종일)등 시내1천4백76개 업소·가정 등에서 ▲부정공사 ▲양수기조작 ▲업종위반 ▲정수(정수)중사용 등 불법으로 수돗물을 사용한 젓으로 밝혀졌다

    중앙일보

    1982.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