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651)사라져 가는 천연기념물

    충북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입구에 오래된 소나무 한 그루가 서있다. 밑기둥 둘레가 5m, 높이가 20m나 되는 이 고목은 흡사 우산을 펴놓은 듯한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조

    중앙일보

    1970.06.27 00:00

  • 파손되는 천연기념물「고씨굴」

    【정선】천연기념물 219호인 영월군하동면진별리의 고씨굴(동굴)이 군당국의 관리소홀로 주민들이 마구 출입, 내부가 크게 손상되어 가고 있다. 고씨굴은 지난 66년4월 한국동굴협회가

    중앙일보

    1970.03.25 00:00

  • (3)춤과노래

    지도를 펴보면「사모아」「피지」「타히티」등 띄엄띄엄 남태평양에 있는 작은 섬들이 거대한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그 삼각형지대를 「폴리네시아」라고 부른다. 기후의 차이는 좀 있지만 꽃

    중앙일보

    1969.10.07 00:00

  • 동굴속의 『퍼스트·레이디』

    대통령 부인 육영수여사는 지난10일 한국동굴협회 탐험대원들의 안내를 받아 강원도 삼척군 도계면 대이리에있는 관음굴이라는 동굴을 탐험했다. 연락이 깁작스러웠고「헬러곱터」의 좌석이 제

    중앙일보

    1969.05.17 00:00

  • (201)천년수

    높이35m, 밑동의 둘레가 11m, 나이 1천년을 해아리는 은행나무 고목이다. 그 나무의 아름드리 가지가 땅에 내려앉아 물구나무선채 뿌리를 내리고 또 새줄기를 돋아내 키우고있다.

    중앙일보

    1969.05.13 00:00

  • (185) 완도교

    신라 흥덕왕(서기826∼835년)때 청해대사 장보고가 동해상의 제해권을 휘어잡고 명성을 떨쳤던 근거지 완도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와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사이 푸른 바다를 가 로

    중앙일보

    1969.02.08 00:00

  • (182)고씨굴 | 첫 관광지 지정과 한국 동굴의 어제·오늘

    여태까지 신비의 세계로만 알려진 채 일부 동굴 관계 인사들에 의해서만 탐험되어 오던 동굴이 당국의 인식으로 이제 「베일」을 벗고 많은 사람들의 관람과 국가 내지는 지역사회의 합목적

    중앙일보

    1969.01.18 00:00

  • (72) 역사의 고향(33) 함양 상림제

    한국의 농민들은 하늘을 보고 산다. 가뭄이 아니면 장마, 장마가 아니면 조풍수해가 겹치는 땅덩어리 위에서, 그래도 농자지대본이라고 흙을 파며 살고 있다. 조국근대화의 불이 켜지고

    중앙일보

    1967.07.01 00:00

  • 한국대원의 개가

    한·일 합동 일본지역 동굴 조사대의 한국대원들은 3월 2일 하오 3시 「일본백경」 3위이며, 아름답기로 손꼽히는 「류가도」(용하동굴·일본 고지현)를 탐험, 이 동굴이 발견 된지 3

    중앙일보

    1967.03.14 00:00

  • (11)|전남 진도군

    진도개의 본산지로 이름난 진도군은 우리 나라에서 세번째로 큰 진도 본섬 (334평방킬로)을 비롯해서 대·소 2백26개 (유인도 58·무인도 168)의 도좌를 거느리고 있다. 한반

    중앙일보

    1966.10.20 00:00

  • 한국의 대표적「난산」

    한국의 12종산 중에 신선경을 이루고 있지 않은 곳이 없겠지만 보은을 지나 속리에 들어서자면 입구의 오리 숲길이 벌써 속진을 씻어준다. 소백웅맥과 노령산맥의 지세가 마주치는 곳에

    중앙일보

    1966.05.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