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방사선으로 꼬마 무궁화 탄생...미래기술 이용한 '육종의 세계'

    방사선으로 꼬마 무궁화 탄생...미래기술 이용한 '육종의 세계'

    직경 5㎝ 미만의 작은 꽃 한 송이가 나무에 폈다. 화분에 담긴 꽃나무의 키도 약 30㎝로 왜소하다. 작은 나무에 작은 꽃이 펴 앙증맞은 느낌을 준다. 꽃의 정체는 바로 무궁화의

    중앙일보

    2019.03.19 17:51

  • 자생종 ‘노란 무궁화’ 황근 보급 나섰다

    자생종 ‘노란 무궁화’ 황근 보급 나섰다

    자생종 황근은 올해부터 매년 4000그루씩 제주도곳곳에 심겨질 예정이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제주도와 함께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인 ‘황근(黃

    중앙일보

    2017.04.13 01:38

  • [단독] 무궁화는 외래식물..우리 자생종 '노랑무궁화' 키운다

    [단독] 무궁화는 외래식물..우리 자생종 '노랑무궁화' 키운다

    나라꽃으로 불리는 외래종무궁화 [중앙포토]  무궁화는 흔히 우리 나라꽃, 즉 '국화(國花))'로 불린다. 하지만 무궁화는 법적으로 인정된 국화가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중앙일보

    2017.04.12 12:00

  • 식목일 맞아 베란다에 나라꽃 심어요

    식목일 맞아 베란다에 나라꽃 심어요

    며칠 뒤면 식목일이다. 이번 식목일엔 화려한 외래종 꽃 대신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를 심어 보는 건 어떨까. 정원은 물론 베란다에서도 가꿀 수 있다. 조금만 발품을 팔면 무상으

    중앙일보

    2011.03.31 03:35

  • [week& 레저] 떠나자, 식물원·수목원으로

    [week& 레저] 떠나자, 식물원·수목원으로

    민들레.튤립.철쭉.할미꽃.금낭화.앵초.매발톱.꽃잔디…. 봄에 피는 이들 꽃 중 대강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을 꼽아보시라. 절반 이상을 떠올렸다면, 당신은 꽃을 사랑하는 사람

    중앙일보

    2004.05.06 15:53

  • 박태기나무·회잎나무 공해에 강하다

    대기오염의 공해가 심한 곳은 내공해성이 강한 식물을 심어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환경연구원 환경생물연구실(실장 김재봉 연구관)은 최근 이산화유황(SO₂)을 비롯, 이산화질소

    중앙일보

    1989.02.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