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1-2000]

    1991년 1. 3 : 최의웅(군사정전위 북한측 수석위원), 유엔군측 수석위원을 한국군장성으로 교체하는 것을 반대하는 담화 발표. 1.28 : 김영남(부총리 겸 외교부장), 알렉산

    중앙일보

    2004.10.25 14:04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71-80]

    1971년 1. 4 : 노동당 중앙위 비서 양정섭, 최용건 병문안차 동독 향발(9일 귀환). 1.22 : 외무성, 미국이 인지 전역에서 「침략전쟁을 확대」하고 있다고 「성명」발표.

    중앙일보

    2004.10.25 13:04

  • 본사선정 83년 국내 10대 뉴스

    뉴욕발 KAL007점보기가 9월1일 소련SU-17기의 미사일 공격을 받고 추락. 희생자는 2백69명. 모스크바취항거부등 세계 각국의 대소제재가 뒤따랐으나 소련은 사과 한마디 않고

    중앙일보

    1983.12.24 00:00

  • 에어프랑스, 소취항 취소

    【파리·뉴욕AFP·AP=연합】소련의 KAL기격추만행에 대한 국제적 분노가 날로 거세져 19일 프랑스의 에어프랑스사도 모스크바 취항을 취소했으며 뉴질랜드는 소련선박에 대한 1개월간의

    중앙일보

    1983.09.20 00:00

  • 불 에어프랑스기|4번째 소련향발

    【파리로이터=연합】프랑스의 에어프랑스소속 여객기가 17일 프랑스 조종사노조가 지난13일 모스크바 취항을 거부한 이후 4번째로 모스크바로 떠났다. 그러나 비노조 조종사들이 탑승한 에

    중앙일보

    1983.09.19 00:00

  • 소, 항로막혀 고립상태

    【외신종합=본사특약】서방국가들과 중립국들이 소련의 KAL기격추사건에 항의, 소련취항금지조치를 취한데따라 소련은 자유세계로부터 거의 고립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중앙일보

    1983.09.16 00:00

  • 몰타·뉴질랜드도 가세

    【런던UPI=연합】영국 프랑스 서독 등 서유럽10개국과 뉴질랜드와 몰타의 민간항공기조종사들은 소련의 KAL여객기격추만행에대한 항의 표시로 12일 상오9시(한국시간)를 기해 자국기의

    중앙일보

    1983.09.13 00:00

  • 소기 취항거부 실행 각국 민항기조종사

    【런던 로이터·AP=연합】영국·프랑스·서독·호주등 세계각국의 민간항공조종사들은 7일 소련전투기의 KAL기격추에 대한 보복조치로 모스크바취항을 60일간 중단하라는 국제조종사협회연맹(

    중앙일보

    1983.09.08 00:00

  • 「축지법시대」 개막…콩코드 첫 취항

    1월21일 인류는 하나의 새 시대에 들어선다. 이날부터 인간은 음속의 두 배, 총알만큼 빠른 속도로 나들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른바 초음속시대는 이날 상오 11시30분

    중앙일보

    1976.01.21 00:00

  • 북괴 대남 공작에 새로운 「패턴」|대통령 저격범 문세광의 배후를 추적한다

    민단 분열 후 반민단화 재일한국 청년 동맹은 원래 민단의 하부 행동대였던 것이 3년 전 민단 분열의 여파로 반민단·반정부파 손아귀에 들어간 불온 변신조직이다. 한청의 전신은 45년

    중앙일보

    1974.08.19 00:00

  • 허위 드러난 과장 『북송희망』

    【동경=조동오 특파원】22일 하오4시43분 85가구 2백54명의 조총련계 교포를 태운 북송선 만경봉호(3천5백73t)가 마지막으로 「니이가다」(신석)항을 출항, 북괴 청진으로 향했

    중앙일보

    1971.10.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