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보건소 기구 대폭 확대

    3월부터 보건소 기구가 대폭 확대 개편되며 특히 성동·중랑·구로·도봉·관악구 등 5개 보건 취약지역에는 지역보건과가 신설되고 이동 진료 반이 정기적으로 영세민 집단거주지역과 노인정

    중앙일보

    1991.03.07 00:00

  • 마약중독자 무료 치료 시·도서 치료기관 운영

    정부는 앞으로 마약류에 중독됐거나 중독의 의심이 가는 사람은 정부 지정 진료 보호 기관에 입원시켜 치료해 주기로 했다. 보사부는 11일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처벌보다 치료 보호를

    중앙일보

    1990.07.12 00:00

  • 마약 중독자 등 강제입원 치료

    마약중독자나 중독의심이 가는 사람은 정부가 지정하는 치료기관에 강제입원, 국비로 치료를 받게된다. 12일 보사부가 입법 예고한「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령」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나

    중앙일보

    1989.10.13 00:00

  • 헤어스프레이·무스는 오존층 파괴 "주범"

    15일은 「소비자 권리의 날」. 지난 83년 국제소비자연맹(IOCU)이 62년 3월 15일 「존·F·케네디」 미 대통령의 소비자 4대 권리주창 의회연설을 기념하여 제정한 것으로 올

    중앙일보

    1989.03.16 00:00

  • 민방위 훈련 20분씩 연8회로 단축|새해엔 이렇게 달라진다

    88년--그 격동의 한해도 이제 서서히 저문다. 그 어느 해보다 갈등이 첨예했고 변화가 많았던 한해였다. 민주화·자율화와 더불어 각계 각층의 목소리가 유난히 컸고 또 이들의 주장이

    중앙일보

    1988.12.30 00:00

  • 마약 사범 한미 합동 단속|중독자 무료 치료

    정부는 28일 마약사범 특별 단속 대책을 마련, 마약 사범 신고 전화를 국번 없이 127번으로 신설하고 연6회 한미 합동 단속을 실시하는 한편 중독자는 국.공립 뱡원에서 무료 치료

    중앙일보

    1987.03.28 00:00

  • 우편민원 68종으로

    서울시경은 13일 경찰관계 민원사항 중 우편으로 처리가 가능한 민원사항 68개 항목을 지정, 우편으로 처리하도록 민원서류 간소화방안을 마련했다. 이 방안에 의하면 신청인이 우편으로

    중앙일보

    1970.05.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