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잘못된 보고

    "왕께서 수길이 어떻게 생겼는가 하문하니 황윤길은 '눈이 반짝반짝하여 담과 지략이 있는 사람 같았습니다'하였고, 김성일은 '그의 눈은 쥐와 같으니 족히 두려워할 위인이 되지 못합니

    중앙일보

    2003.02.10 17:52

  • KBS.1TV "역사의 라이벌"

    「황윤길과 김성일」.임진왜란이 나기 직전 일본에 다녀온 정사황윤길과 부사 김성일이 왜군의 침략 가능성에 대해 서로 다른 보고를 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동인인 황윤길이 반드

    중앙일보

    1995.03.11 00:00

  • 1590년 3월과 1990년 3월… /송원영 전국회의원(기고)

    1590년(선조 23년) 3월 우리정부는 일본에 사절단을 보냈다. 통신사 황윤길,부사 김성일로 구성된 이 사절단의 주임무는 일본의 전쟁준비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그해 11월까지 여

    중앙일보

    1990.04.07 00:00

  • 국립발레단 단장 임성남씨

    『음악가가 되고싶어 국민학교 때부터 배우던 피아노 공부를 그만두고 무용의 길에 접어든지가 어언 45년이나 됐군요.』 올해 회갑을 맞은 국립발레단 임성남 단장은 23일 국립극장 대

    중앙일보

    1989.09.19 00:00

  • 전시

    ◇호암미술관 소장도자기 명품전=3월21일까지 중앙일보새사옥 호암갤러리. 청자·백자· 분청등 명품 2백여점을 내놓았다· ◇김병화 종이조각전=14∼19일 동숭동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중앙일보

    1986.02.14 00:00

  • 김성일의 직언

    김성일(1538∼1593)하면 우리는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당파싸움에 급급하여 그릇된 귀국보고를 함으로써 임진왜란의 참화를 앉아서 당하게된 장본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중앙일보

    1981.03.14 00:00

  • <한국 역사 토론… 우리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당쟁과 사화

    과거의 침략주의적 어용 사가가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데 씌운 커다란 몇가지 굴레 가운데 「민족성」이란 문제가 있다. 한국인은 단결심이 약하고, 당파성이 강한 민족성을 가졌는데 이는

    중앙일보

    1976.05.04 00:00

  • (2)교산 허균

    조국근대화의 여명기인물로서 이수광의 다음에 들어야 할 이는 그와 같은 시대에 또한 북경에 두 번이나 다녀오는 한편 처음으로 「홍길동전」이라는 국문 소설을 창작한 남인소속의 정객 허

    중앙일보

    1966.03.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