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여생 첫 중공 여행-재미 교포 나순옥씨 5월27일∼6월19일 광주·상해·북경 관광

    【조동오특파원 홍콩서 나 여사 긴급 회견】한국사람으로서는 처음으로 재미교포인 나순옥 여사(42)가 지난 5월27일부터 6월19일까지 24일간 중공을 관광차 다녀왔다. 「홍콩」에 무

    중앙일보

    1973.06.26 00:00

  • 아무리 멀고 험해도 기어이 가야할 길

    우리대표단과 기자단 일행은 남북적십자회담에 참가하기 위해 이제 평양을 향하여 출발하려 합니다. 4반세기 동안 같은 단국땅이면서도 드나들지 못했던 북녘땅에 첫발을 내딛는 저희 일행은

    중앙일보

    1972.08.29 00:00

  • (200)38선돌파와 북진(16)

    (중) 북한수복지역의 군정은, 미8군 관할지역과 미10군단지역과는 그 체제나 실시방법 등에 있어 좀 달랐다. 원래 미10군단은 재한 미지상군 사령관인 「월튼·워커」중장의 지휘를 받

    중앙일보

    1971.07.12 00:00

  • 6·25 스물 한 돌「세계의 벽」을 말한다|체험세대와 동란동이의 좌담

    6·25를 몸소 치른 세대와 6·25가 터지던 해 세상에 태어난 세대가 무릎을 맞대고 앉았다. 피난길에 오르지 못한 채 적 치하 90일의 고난을 겪은 대학교수와 직접 적과 맞부딪쳐

    중앙일보

    1971.06.25 00:00

  • 희망의 소리

    『희망은 없지만 그렇다고 절망하지는 않는다.』앙드레·말로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희망만 있으면 어떠한 역경이나 고통도 이겨나 갈 수 있다. 말로의 소설의 주인공들은 모두 희망도

    중앙일보

    1971.06.16 00:00

  • (90) (3) (하)

    김팔봉 씨와 함께 인민 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되어 그들의 곤봉 세례를 받은 애지사 문선과장 전재홍씨(당시 이름은 영환)도 기적적으로 목숨을 부지했다. 6·25를 통해 그들의 인민 재

    중앙일보

    1970.10.26 00:00

  • (1)캄보디아서 돌아온 박정환소위 수기

    작년 구정 월남「미토」시에서 「베트콩」에게 납치되었다가 탈출한뒤 「캄보디아」에 억류끝에 송환된 박정환소위(27·용산구이태원동 군인「아파트」 1O동113호)는 지난17개월동안 겪은

    중앙일보

    1969.06.28 00:00

  • (1)

    최노인 : 60세와70세 분이 : 26세의 36세 전호 : 7세와 17세 (일명 발돌이) 인찬 : 38세 (육군대위) 할멈 : 58세 이노인 : 64세 (분이의 아버지) 구식 :

    중앙일보

    1969.01.11 00:00

  • 백%애국자

    한국인과 서양인의 발상법 의 차이는 생활의 구석구석에까지 나타난다. 가령 서양인은 모든 것을 자기 중심으로, 자기를 통해서 생각해 본다. 한국인은 그렇지가 않다. 그래서인지는 몰라

    중앙일보

    1968.06.05 00:00

  • 국가의 신의와 이중인격자-홍종인

    사람이 「성실」하여야 한다는 것은 만고의 교훈인 것이다. 일본은 한국에 대하여 적어도 조약상 의무와 책임에서 「성실」하여야 할 것을 나라의 이름으로써 약속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

    중앙일보

    1966.07.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