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시비건립위원회 발족

    ◇문익환·계훈제·백기완씨는 20일 고 장준하 선생 시비건립위원회 발기인모임을 갖고 9월20일까지 기금모금에 나섰다. 고 장준하 선생은 올해로 10주기를 맞았다. 연락처 388-98

    중앙일보

    1985.08.21 00:00

  • 장준하씨 추모 강연

    ◇언론인 송건호씨가 9일 하오 6시 서울동숭동 홍사단 대강당에서 열리는 장준하선생 9주기 추모대강연회에서 『한일관계의 재검토』라는 제목으로 강연한다. 계훈제·문익환씨의 강연도 있을

    중앙일보

    1984.08.08 00:00

  • 김대중 등 24명 공소장 전문

    죄명 가, 내란 음모 나, 내란 선동 다, 계엄법 위반 라, 계엄법 위반 교사 마, 국가보안법 위반 바, 반공법 위반 사, 외국환 관리법 위반 ※이름·나이 직업·죄명 순 ◇피고인등

    중앙일보

    1980.08.14 00:00

  • (1452)전국학연(64)

    국대안문제가 터진후 또 하나 민족진영학생「서클」이 서울대학교 중심으로 발족했다. 주동 인물의 다수는 전국학련의 발기인이었거나 간부맹원이었다. 면학분위기 조성을 목표로 「건설」이라는

    중앙일보

    1975.10.01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1442)|전국학연(제47화)|나의 학생운동 이철승

    「피난민 합숙소」는 내 일생을 통해 가장 보람있는 학생운동을 할 수 있었던 반탁활동의 산실이기도 하였거니와, 여기서 기획해서 손댔던 일 가운데 「반탁강좌」는 특히 잊을 수가 없다

    중앙일보

    1975.09.18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1441)|전국학연(제47화)|나의 학생운동 이철승

    반탁학련사무실을 서울역 앞「세브란스」의 전 구내에서 청계천 2가 「서울적십자사」 자리(관수동)로 옮긴 것은 46년2월말. 그러니까 반탁학련 발족 후 두달 쯤 후였다. 일제 시대엔

    중앙일보

    1975.09.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