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MB “관료들 얘기 그대로 수용 마라”

    MB “관료들 얘기 그대로 수용 마라”

    이경숙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오른쪽에서 셋째)이 13일 서울 삼청동 인수위에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에게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백성운 행정실장, 곽승준·박형준 기획조정위 위

    중앙일보

    2008.01.14 04:28

  • [CoverStory] “휴대폰 요금 내려라” “기업 자율에 맡길 것”

    [CoverStory] “휴대폰 요금 내려라” “기업 자율에 맡길 것”

     “통신비 인하는 경쟁 촉진, 규제 완화, 기업 자율 등 시장 친화적으로 접근할 것이다.” “정보통신부에 이달 중 국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구체적인 휴대전화료 인하 안을 마련해

    중앙일보

    2008.01.07 05:29

  • 정부주도 '경쟁력 높이기' 경제활동 위축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경쟁력 10% 높이기 운동은 갈수록 민간경제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우리경제가 경상수지 적자확대와 경기둔화라는 어려움에 처하게 된 이유는

    중앙일보

    1996.10.26 00:00

  • 정부 부처別 '물가 책임관리制' 도입

    정부가 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섰다. 우선 전기.철도.우편 요금과 같은 공공요금은 「물가가 안정될때까지」올리지 않기로 했다.상.하수도나 시내버스 요금등 지자체가 결정토록 돼 있는 공

    중앙일보

    1996.02.03 00:00

  • "한은특융받은 기업 공개하라"

    ▲유준상의원(신민)〓국민의 직접결정에 의해 선출된 대통령으로 하여금 경제각료를 임명케하고 경제정책에 임할때 정책의 실패가 따른다해도 국민은 정부를 믿을 것이다. 사치성·소비성지출인

    중앙일보

    1985.11.25 00:00

  • "물가상승 공공료가 주도 국민 외채부담률 개도국 중 7위"

    국회 경제과학위원회는 8일 정부의 물가정책·외상상환문제 등을 집중 추궁했다. 유치송·이기택 의원(신민)은 『물가장승의 요인은 정부부문에 있고 정부의 물가정책 부재에 있다』고 주장,

    중앙일보

    1976.11.08 00:00

  • 「내일」로 뻗는 5대 기간산업

    「가정전화」시대로|무제한 송전이라지만 「서비스」뒤따라야|74년엔 백79만kw출력 해방 후 20년에 우리경제는 각 분야에서 허다한 변화를 겪어왔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게 변모

    중앙일보

    1966.0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