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비게이션] 문재인의 9·19 군사합의 옹호, 신원식의 9·19 폐기론
안녕하세요.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서비스 구독자 여러분. 매주 월, 수요일 아침 뉴스 내비게이션 레터 서비스를 통해 주요 시사 현안을 정리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18년 9월 19일 평양에서 서명한 9.19남북군사 합의의 문제점을 짚어 보겠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9.19합의 옹호론과 신원식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폐기론이 맞서고 있죠.
문재인의 9·19 군사합의 옹호, 신원식의 9·19 폐기론
2018년 9월 20일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백두산 천지에 서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두 사람은 전날 '9·19 남북 공동성명'과 부속합의서인 '9·19 남북군사합의'에 서명했다. 하지만 이후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자 폐기론이 줄곧 제기됐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19일 퇴임 이후 처음 상경해 몇 가지 눈에 띄는 행보를 했다.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9·19공동선언 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했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병문안했다. 퇴임하면 잊히겠다던 전직 대통령이 요란하게 서점을 오픈하고 SNS에 정치성 글을 자주 올리더니 급기야 서울에 올라와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이 낯설다.
그날 낮에 문 전 대통령은 진정성 논란을 일으키며 단식 중이던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병문안했다. 운동권 세력과 좌파들이 단식 치료를 위해 선호한다는 녹색병원 1인실에서 문 전 대통령은 이 대표에게 나직이 속삭였다. 단식 중단을 권유하며 "기운 차려서 길게 싸워나가야 한다", "이제 다른 모습으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통합을 강조하며 정치권의 싸움을 말려도 부족할 전직 대통령이 싸움을 부채질하는 듯한 장면이 참 기이했다. 문 전 대통령의 '댓글 양념론'이 떠올랐다.